숲&산림 ESG

‘목재문화체험장’ 활성화 세미나

강석진 의원, ‘목재문화체험장 지역관광자원화’ 위해 노력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강석진 국회의원(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은 생활 속 목재문화의 정착과 국내 목재이용활성화를 위해 산림청(청장 김재현)과 함께 4월 29일(월)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목재문화협회가 주관하는 ‘목재문화체험장 운영활성화 방안’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강석진 국회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전국 목재문화체험장을 홍보, 활성화하여 지역의 대표적 관광자원이 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지역 임업과 연계하여 임업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미나는 ‘목재문화체험장 운영활성화’를 주제로 전국 시ㆍ도별 목재문화체험장 운영담당자와 연구기관, 관계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생활 속 목재활용방안에 대하여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다.

 

또한, 세미나실 안팎에는 각종 목재 완구, 공예품 등 목재활용물이 전시되어 다양한 목재활용 사례와 우리 목재의 친환경 우수성 등에 대하여 참석자들의 뜨거운 관심과 호평이 이어졌다.

국산목재의 우수성 및 목재문화 활성화 필요성에 대한 주제로 진행된 1부에서는 한규성 한국목재공학회 회장의 ‘목재문화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발표와 국립산림과학원 심국보 과장의 ‘도시목조화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동국대 불교학습원 이동흡 전문위원이 ‘목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발표를 했다.

 

이어 2부 목재문화체험장의 현황과 발전방안을 주제로 이종수 산림청 목재산업과장의 ‘목재문화관련 정책 소개’와 거창목재문화체험장 백진섭 센터장의 ‘거창군 목재문화체험장 운영사례’ 그리고 목재문화진흥회 최돈하 부회장의 ‘목재문화체험장 발전방안’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강석진 의원은 “세미나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 산림청 및 각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목재문화체험장의 활성화와 목재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우리 목재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한편, 안상수, 박명재 국회의원이 참석하여 세미나 개최를 축하하고 목재산업 진흥에 힘을 보탰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