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핵과류 병해충’ 올해 특히 주의 예고

- 농촌진흥청 "꽃 필 때 내린 비로 핵과류에서 ‘잿빛무늬병’ 확산 우려"
- 매실은 지난해 ‘복숭아씨살이좀벌’ 피해 40~70% 달해, 방제 신경 써야

5월은 복숭아와 자두, 매실 등 핵과류에서 병해충 발생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핵과류에서는 잿빛무늬병을, 매실에서는 복숭아씨살이좀벌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핵과류에 발생하는 잿빛무늬병

올해는 핵과류꽃 피는 시기인 4월 초 전국적으로 비 내리는 날이 많아 병 확산이 우려된다. 실제로 4월 3주 조사 결과, 전북 완주 일부 지역에서는 복숭아꽃과 살구꽃에 잿빛무늬병 감염이 확인됐다.

잿빛무늬병 병원균은 주로 가지와 토양에 잠복하다 꽃에 먼저 감염되고, 열매가지(결과지)와 열매로 전염된다.

감염된 가지는 갈색으로 변해 마르고 회색의 곰팡이 번식체(포자)와 노란색의 수액을 형성한다. 감염된 열매는 작은 회색 반점이 생기고 반점이 확대되다 흰색의 포자(곰팡이) 덩어리가 형성되며 썩는다.


따라서 가지와 열매에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면 바로 제거해 병원균이 확산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때 열매는 포자가 날리지 않도록 봉지로 싸서 버린다.

아울러 5월부터는 잿빛무늬병 약제를 1주 간격으로 2~3회 반드시 뿌려주고, 봉지는 되도록 일찍 씌워준다.

◇ 매실에 해를 가하는 복숭아씨살이좀벌

전남 광양과 순천, 전북 순창 등 남부지역 매실 주산지에서는 해마다 복숭아씨살이좀벌 피해로 열매가 떨어지거나 상품으로 판매되지 못하는(비상품과) 비율이 30%에 이른다. 특히 지난해에는 주산지 가뭄으로 피해 열매 비율이 40~70% 정도에 달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피해가 컸던 만큼 겨울을 난 벌레가 많아 올해도 복숭아씨살이좀벌 밀도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복숭아씨살이좀벌 애벌레(유충)는 매실 열매의 씨앗 속에서 부화해 핵 내부를 먹고 자라므로, 약제를 뿌려도 약액이 벌레 몸에 직접 닿지 않아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어른벌레가 알을 왕성하게 낳는 5월 초 방제해야 한다. 전용 약제를 1주 간격으로 2~3회 주되,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어른벌레 번식 시기에 맞춰 살충제를 뿌리면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피해를 본 열매는 가지에 방치돼 있거나 땅에 떨어진 것이라도 수시로 수거해 비눗물에 담가 씨 속에 있는 애벌레를 방제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이듬해 벌레 발생 밀도를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김동환 과장은 “핵과류는 기상 상황과 과수원 환경을 살펴 초기 병해충 관리에 힘써야 품질을 높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 고강도 혁신 착수!...‘국민 신뢰’ 높여 나간다
농협(회장 강호동)은 최근 잇따른 사건·사고로 훼손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강도 높은 개혁안을 12일 발표했다. 이 개혁안은 이틀 전 발표된 범농협 임원 인적 쇄신 방안의 후속 조치로, 농협 조직 및 임직원 전체가 뼈를 깎는 수준의 혁신을 시행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다. 개혁안은 ▲ 신뢰받는 농협중앙회 ▲ 깨끗하고 청렴한 농축협 ▲ 국민에게 사랑받는 농협이라는 3대 추진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앙회 지배구조 혁신’, ‘지역 농축협 부정부패 제로화’, '농업인 부채 탕감’ 등 농협의 근본적 변화를 이끌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농협중앙회 지배구조 혁신 및 책임경영 강화 농협은 중앙회 운영 전반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바꾸기로 했다. 대표, 임원, 집행간부의 절반 이상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인적 쇄신과 더불어, 임원 선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퇴직자의 재취업을 원칙적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대표이사에게 경영 자율성을 보장하여 책임경영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책무구조도를 도입하여 중대한 비위 행위 발생 시 대표이사를 해임하는 등 엄중히 문책하기로 했다. 또한, 불공정 이슈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수의계약을 원칙적으로 금지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