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국립종자원, 품종출원 12,668개 돌파

- 장미, 국화, 고추 등 504개 품종 출원 504개의 식물 신품종 지식재산권 보호
- 국가기관이 가장 많이 출원하였으며, 외국인 출원 비중은 21%로 증가
- 고추, 벼 출원이 감소했지만, 장미, 국화, 팔레놉시스 출원은 증가
- 장미가 가장 많이 등록...뉴기니아봉선화, 쓴메밀 11개 작물 신품종 등록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2022년 504개 식물 신품종이 신규로 출원되어 누적 출원건수는 12,668개 품종이며, 누적 품종보호 등록건수는 9,262개 품종이라고 밝혔다.

품종보호제도는 식물 신품종을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해주는 특허 제도의 일종으로, 품종보호 출원이 되고 품종보호권이 설정되면 육성자에게 식물 신품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보장한다.

1998년 품종보호제도 시행 이후 2022년까지의 누적 출원 현황을 작물류 중심으로 분석해 보면, 장미, 국화, 거베라 등 화훼류가 49%(6,215개 품종)로 가장 많으며 고추, 배추, 무 등 채소류가 25%(3,157개 품종), 벼, 콩, 옥수수 등 식량작물이 13%(1,589개 품종), 복숭아, 사과, 포도 등 과수류가 7%(917개 품종)로 나타났다.

2022년 출원 현황을 작물류 중심으로 분석해 보면, 장미, 국화, 팔레놉시스 등 화훼류가 48%(244개 품종)로 가장 많으며 고추, 배추, 수박 등 채소류가 25%(125개 품종), 벼, 감자, 콩 등 식량작물이 13%(66개 품종), 복숭아, 사과, 포도 등 과수류가 8%(40개 품종)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장 많이 출원된 작물은 장미로 55개 품종이 출원되었으며, 다음으로 국화 51개 품종, 고추 26개 품종, 벼 25개 품종, 팔레놉시스 19개 품종으로 나타났고, 상위 5개 작물에 화훼작물이 3개 작물 포함되었다. 상위 5개 작물의 출원품종수는 전체 출원품종수의 약 35%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출원인을 중심으로 보면 2022년 출원 중 외국에서 출원되는 비중은 약 21%(108개 품종), 내국인 출원 79%(396개 품종)로 나타났다.

내국인 출원은 도 농업기술원 등 지방자치단체 29%(114개 품종), 농촌진흥청 등 국가기관 17%(67개 품종)를 차지하여 전체 내국인 출원 건의 46% 차지, 종자업체 26%(103개 품종), 개인육종가 17%(69개 품종)를 담당했다.

2021년 출원 현황과 비교해 보면, 2022년 출원 수는 571건에서 504건으로 12% 감소하였다. 작물류별로는 채소류 42%(214개 → 125개 품종), 식량작물이 27%(91개 → 66개 품종), 과수류 18%(49개 → 40개 품종) 순으로 감소한 데 비해 화훼류는 36%(180개 → 244개 품종) 증가하였다.

출원 상위 5개 작물에서는 고추, 벼 출원이 감소했지만, 장미, 국화, 팔레놉시스 출원은 증가하였다. 외국인 출원 비중은 14%에서 21%로 증가하였다.

품종보호출원이 되면, 서류 심사를 거쳐 국립종자원 본원(김천), 경남지원(밀양), 동부지원(평창), 서부지원(익산), 제주지원(제주)에서 작물별로 재배시험을 거쳐 품종보호 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작물별 번식방법에 따라 재배시험 기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품종보호 등록 결정까지는 출원 후 1년에서 3년이 소요된다.

품종보호제도 시행 이후 2022년까지 누적 품종보호 등록된 9,262개 품종을 작물류별로 화훼류가 51%(4,746개 품종)로 가장 많으며, 채소류 23%(2,100개 품종), 식량작물 14%(1,277개 품종), 과수류 6%(548개 품종)로 나타났다.

현재 장미가 1,076개 품종으로 가장 많이 등록되었으며, 다음으로 국화 1,002개 품종, 벼 524개 품종, 고추 448개 품종, 배추 269개 품종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5개 작물의 등록건수는 전체 등록건수의 약 36%를 차지한다.

 


2022년 품종보호 등록된 463개 품종을 작물류별로 분석해 보면, 화훼류가 38%(178개 품종)로 가장 많으며, 채소류 35%(160개 품종), 식량작물 11%(51개 품종), 과수류 8%(39개 품종)로 나타났다.

작물별로 살펴보면 장미가 51개 품종으로 가장 많이 등록되었으며, 다음으로 고추 38개 품종, 국화 37개 품종, 무와 배추가 각각 18개 품종으로 나타났고, 상위 5개 작물에 채소류가 3개 작물 포함되었다. 상위 5개 작물의 등록건수는 전체 등록건수의 약 35%를 차지한다.

2022년 품종보호 등록된 품종 중 국내에 처음으로 등록된 작물은 11개 작물이며 총 14개 품종이 등록되었다.
처음 등록된 작물은 누운숫잔대(3개 품종), 뉴기니아봉선화(2개 품종), 마가렛, 선씀바귀, 스파티필룸, 쓴메밀, 알로카시아, 양국수나무, 채두수, 타이뽕나무, 틸란드시아이다.

김종필 국립종자원 품종보호과장은 “식물신품종보호제도는 신품종 우량종자 육성․보급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종자 수출 활성화에 기여하는 제도이며, 국립종자원은 품종보호제도의 내실있는 운영으로 신품종 육성가의 우수품종 개발 의욕을 고취하는 한편, 최근 신품종 개발이 증가하는 병 저항성, 기능성 신품종 심사기준을 설정하는 등 적극 행정으로 우리 신품종 개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식품부, 겨울철 재해예방 대책 추진...‘대설·한파’ 피해 최소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대설, 한파 등 겨울철 재해로 인한 농업분야 피해 최소화를 위해 ‘2025년 겨울철 농업재해대책’을 발표하고, 피해 예방·경감 및 복구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겨울철(12월~1월)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0.5℃, 89.0㎜)과 대체로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북쪽 찬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기습 한파와 해수온도 및 대기 온도차로 발생하는 폭설 등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올해 11월 15일부터 익년 3월 15일까지 농업재해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겨울철 원예·축산 등 농업분야 재해상황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재해대책 상황실(4개팀, 13명)을 운영하면서 기상특보 및 피해예방 요령을 전파하고 재해발생시 피해상황 집계 및 보고·전파, 재해대책 상황관리를 실시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행안부)를 중심으로 중앙과 지자체, 유관기관을 포함한 입체적인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한다. 피해예방을 위해 철저한 사전점검과 함께 대설, 한파 등으로 농업분야 피해 발생 시 응급복구와 정밀조사 및 피해복구를 신속히 추진한다. 취약시설 중심으로 지주시설 설치·보강, 급수시설 피복, 난방장비 가동 상태 등을 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