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자연드림씨앗재단, 아이쿱 생협과 전국에서 나눔 활동

- 나눔 참여 조합 94개, 총 나눔액 395,339,123원...협력 단체 수 208여 개 나눔 참여 조합원 6,000여 명
- 이희한 이사장 "11년째 나눔의 생활화 실천하며, 나눔 협동의 사회 실현을 위해 노력"


(재)자연드림씨앗재단(이사장 이희한)과 94개 아이쿱생협이 협력한 ‘2022 자연드림씨앗재단과 함께하는 아이쿱나눔사업(이하 아이쿱나눔사업)’이 작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진행되어 총 395,339,123원의 나눔이 이루어졌다.

지난해로 11년째를 맞이한 이 사업은 단순 지원을 넘어 꼭 필요한 지원을 목표로 지자체, 지역의 복지단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280여 개 단체와 협력해 아동, 청소년, 독거노인, 노숙인, 장애인, 50대 독거남, 이주민, 미혼모, 위안부 할머니 등 도움을 필요한 사람과 단체에 나눔을 진행했다.

무엇보다 조합원들이 나눔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자연드림 매장에 기부 물품을 진열해 장 보러 온 조합원이 물품을 사서 기부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나눔 경매에 열어 경매에 낼 물품을 기부하게 했다. 

자연아이쿱생협은 집에서 안 먹는 식품이나 명절 선물로 받았는데 먹지 않는 식품을 모아 기부하는 푸드 드라이브를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반찬 나눔 동아리를 만들어 반찬 나눔에 동참하거나 시간 내기 어려운 분들은 재료비를 기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물품 기부, 현금 기부, 자원봉사, 재능기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봉사와 나눔에 참여한 조합원 수는 총 6,000여 명에 달한다.

나눔 대상과 방법들도 다양해져 강서아이쿱생협처럼 생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유기 고양이 쉼터 지원을 새롭게 시작한 곳도 있고 도봉노원디딤돌아이쿱생협은 청소년 가구를 방문해 냉장고, 주방, 욕실 청소법을 알려주기도 하고, 환경과 공정무역 주제로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재)자연드림씨앗재단 이희한 이사장은 “꼭 필요한 지원과 나눔의 생활화를 실천하는 아이쿱나눔사업이 우리 사회를 함께 행복한 사회로 나아가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자부한다.”며, “지금까지 만들어온 협동의 원이 지역에서 더욱 크게 퍼져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자연드림씨앗재단은 2022년 한 해 동안 우크라이나 난민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을 2차례 진행했는데 모금에는 총 892개인 및 단체가 참여했다. 이때 모금된 66,548,770원에 씨앗재단이 21,196,230원을 더해 총 87,745,000원을 우크라이나 인근 몰도바에서 난민 구호 활동을 하는 국제구호단체 피스윈즈코리아를 통해 난민에게 꼭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