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각양각색 '우수 장미품종’ 한자리에

- 농촌진흥청 등 6개 연구기관 29~30일 서울서 공동 품종 평가회

 

장미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절화류(자른꽃) 중 한 해 판매액이 가장 큰(500억 원) 품목이다. 한 해 350여 개의 품종이 유통될 만큼 품종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다양하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내 육성 장미 우량 계통과 품종의 우수성을 알리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장미 중앙·지방 연구협의체와 공동으로 29~30일 서울 양재 화훼공판장(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화훼사업센터)에서 평가회를 연다.

중앙·지방 연구협의체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해외 장미 품종을 재배할 때 지불하는 사용료(로열티) 절감을 위해 2000년대 중반 경기도농업기술원,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충청북도농업기술원과 결성한 협의체다.

 


장미 중앙·지방 연구협의체에서는 해마다 10여 개의 우수한 장미 품종을 육성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이번 평가회에는 국산 장미 품종 중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은 ‘화이트뷰티’, ‘보보스’, ‘디그니티’, ‘아모르젠’ 등과 새롭게 육성한 계통 등 총 50여 품종·계통을 전시한다.

‘화이트뷰티’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2016년 개발한 흰색 대형 장미로, 꽃잎 수가 약 80~100장으로 많고 절화 길이(절화장)가 70~90cm로 큰 편이다. 국내 재배 환경에서도 대형화로 잘 자란다.

‘보보스’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이 2016년 개발한 진분홍색 중형 장미다. 여름철에도 안정적인 꽃색을 보이며, 수송할 때도 상처가 덜 나고 흰가루병 발생이 적어 농가에서 생산, 출하하기가 쉽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이 2020년 개발한 ‘디그니티’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2022년 개발한 ‘아모르젠’도 각각 꽃송이가 크고(디그니티) 가시가 적은(아모르젠) 특징을 지녀 최근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육성한 ‘연모’(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21년)와 기존에 개발한 ‘캐롤라인’(경기도농업기술원, 2020년), ‘피치팡팡’(전라북도농업기술원 2020년), ‘카르페디엠’(경상남도농업기술원 2019년), ‘그린펄’(충청북도농업기술원, 2009년) 등 모양과 색이 다양한 국산 장미도 선보인다.

이날 경매사와 중도매인, 화초 전문가(플로리스트), 재배 농가가 품종과 계통의 기호도를 평가하고,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있을 계통 선발과 품종화 과정에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한편, 절화 장미 품종의 국산화율은 2007년 4.4%에서 2015년 28.8%, 지난해(2021년)에는 31.1%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외 품종 사용료(로열티)는 지속해서 줄어 2007년 74.8억 원에서 2015년 28.4억 원, 지난해에는 19.8억 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20억 원 밑으로 떨어졌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이영란 과장은 “국산 장미 공동 평가회가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장미 품종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화훼 산업 관계자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