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농업기계화 르포] 양파 '노지모종' 기계화작업 어디까지 왔나? 밭농업기계화가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양파 노지육묘 재배작업에 대한 기계화도 속도를 높이고 있어 기계화 현장을 직접 찾았다. 특히, 양파 아주심기인 정식 작업의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한 양파 모종 생산기술이 중요해 직접 확인해 봤다. <편집자> 양파 생산에 대한 기계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파모종 생산기술이 몹시 중요하다. 이 때문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양파 육묘 방식 선택폭을 넓히기 위해 10월 21일 경남 함양에서 관계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노지 육묘 현장 설명회를 열었다. 그간 농촌진흥청은 기계화에 알맞은 양파 플러그묘 생산 기술을 확립하고자 내재해형 육묘 온실 모형 모델을 개발, 보급해 왔다. 더불어 시설 신축에 부담을 느끼는 농가를 위해 노지 육묘 기술 현장 실증을 병행했다. 양파 플러그묘 생산은 소량의 배지가 담긴 개개의 셀에서 모종인 양파 묘를 키우는 방법으로, 묘가 균일하다. 또, 양파 묘가 튼튼해 자람묘의 수송과 취급이 용이하고, 공간 이용 효율이 높다. - 양파 아주심기는 양파 재배 과정 중에서도 기계화율이 낮은 작업 - 양파재배
마늘, 양파의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해 현장 목소리를 듣는 자리가 마련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5월 8일 파속채소연구센터(전남 무안)에서 마늘 양파 기계화 촉진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땅을 비닐로 덮지 않고 재배하는 비닐 무 피복 재배의 필요성과 기술 개발 현황, 사례를 공유하고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비닐 피복 재배는 수분 보존, 잡초 발생 억제, 생장 촉진 등 장점이 있지만, 비닐 제거 등의 노동력이 추가로 들어 기계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마늘, 양파 무 피복 재배를 할 때 예상되는 문제와 잡초와 저온 피해, 수분 부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응 기술 개발 계획을 소개한다. 또한, 비닐 무 피복 재배를 희망하는 농업인, 지역 농업기술센터 담당자와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아울러 실제 비닐 무 피복 재배를 도입한 농업인 사례도 공유한다. 3년 전부터 마늘을 무 피복 재배로 생산하고 있는 농업인은 “파종 후 5일 정도 마늘 물 대기에 신경 쓰면 피복 재배와 비교해 생산량 감소가 5% 내외로 크지 않다.”라고 소개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파속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