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진원, ‘장비는 있는데 고칠 수가 없어요’…스마트팜 ‘국가표준 설명회’ 개최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6월 고흥·김제 스마트팜혁신벨리에서 '찾아가는 현장 설명회'
- 농가 불편 해소 위한 1:1 맞춤 상담 제공…6월 12일에는 국민 참여형 포럼도 열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스마트팜 국가표준에 대한 ‘찾아가는 현장 설명회’를 6월 4일에 전남 고흥, 10일에는 전북 김제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팜 장비 간 호환성 부족, 유지보수 어려움 등으로 불편을 겪는 농가들을 위해 마련됐다.


최근 스마트팜을 도입한 농가들 사이에서는 “장비는 있는데 고칠 수 없다”라는 불만이 빈번히 제기되고 있다. 업체 폐업으로 수리 서비스(A/S)가 끊기거나, 호환되지 않는 장비로 인해 교체·수리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스마트팜 국가표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농가에 쉽게 알리기 위한 설명회를 추진하게 됐다.


설명회는 오는 6월 4일(수) ‘고흥 스마트팜혁신밸리’, 6월 10일(화) ‘김제 스마트팜혁신밸리’에서 열리며, 예비 창업자와 지역 농업인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현장에는 스마트팜 표준 컨설턴트가 함께 참여해 장비 선택과 교체, 운영에 대한 1:1 맞춤형 상담이 제공된다.

 

특히 국가표준이 적용된 장비의 중요성과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비교 기준 등을 농가 눈높이에 맞춰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심도 있는 논의에 참여를 희망하는 농업인과 관계자는 오는 6월 12일(목) 농촌진흥청 국제회의장에서 열리는 ‘스마트농업 표준화 포럼’에도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포럼은 기존의 전문가 중심 행사에서 벗어나 실제 사용자와 농업인도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 참여형 행사로 운영되며, 국가표준 중장기 로드맵, 제도 개선 방향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농진원 스마트농업본부 김용호 본부장은 “농가가 장비를 처음 선택할 때 표준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면 운영과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라며, “설명회와 포럼을 통해 농가가 표준을 이해하고 정부 정책과 더 가깝게 연결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활동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인공지능 AI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나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