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경연 "소비자들 올해 김장규모 줄이겠다"

- KREI “올해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결과, 직접 담금 비중은 전년보다 증가하나, 김장 규모는 감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24년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 결과 발표


11월 본격적인 김장철에 접어들어서면 출하지역 크게 늘어나 배추 가격은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수요량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농업관측센터의 전망이다.

분석결과 김장 규모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가구당 김치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김장 규모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배추 가격이 높아서 김장 규모를 줄였다는 해석은 김장을 직접 담그는 가구가 늘어난 것 등으로 볼 때 근거가 없고, 김장규모 감소폭 역시 지난해 보다 줄어들었다.

또,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올해 김장을 직접 담그겠다는 비중은 68.1%로 전년(63.3%) 대비 4.8%p 증가하였다. 이는 K-Food 열풍, 요리에 대한 관심 증가 등 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배추 등 가격 상승으로 김포족(김장을 포기한 가족)이 늘고 있다는 일부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 농업관측센터(이하 관측센터)는 가구 소비자 550명을 대상으로 2024년 김장의향 조사를 실시, 18일 발표했다. 농업관측센터의 세부 분석 내용이다.


◇김장 의향= 2024년 김장 의향은 ‘전년과 비슷하게 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5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년보다 증가’(10.0%)보다 ‘전년보다 감소’(35.6%)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김장 의향이 감소하는 장기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김치 조달 형태= 직접 담그는 비중은 68.1%로 작년(63.3%) 대비 증가하였고, 시판김치 구매 비중은 27.0%로 작년(29.5%)보다 감소하였다. 직접 담금 이유로는 ‘가족이 선호하는 입맛 고려’(53.0%), ‘시판 김치보다 원료 신뢰 높음’(29.6%)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김장 규모= 4인 가구 기준 배추 김장 규모는 18.5포기로 전년(19.9포기) 및 평년(21.9포기) 대비 감소하였다. 김장의향 감소 이유로는 ‘김장비용 부담’(42.1%), ‘가정 내 김치 소비량 감소’(29.8%), ‘시판김치 구매 편리성’(15.2%), ‘배추김치 외 다른 김치류 선호’(7.0%) 순으로 나타났다.
 
◇배추 구입 형태= 김장 시 배추 구입은 절임배추가 5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신선배추(42.3%), 신선 및 절임배추 혼합(2.2%) 순이었다. 절임배추 구입 장소는 백화점 또는 대형유통업체 25.6%, 농가 직거래 22.4%, 부모·친지·지인 통한 구매 13.3%로 나타났다.
 


◇김장 시기= 김장 시기는 11월 상순에 본격 시작되며, 11월 하순에서 12월 상순이 51%로 김장이 집중되는 시기로 조사되었다. 11월 하순 이후 김장 의향은 62.3%로 작년(59.6%)보다 증가하여 김장을 늦추려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신선배추 구매의향= 중국산 신선배추 구매 의향은 ‘없음’이 96%, ‘있음’이 4%로 국내산 배추에 대한 구매의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뙤약볕 농삿일 '온열질환 예방'... "물! 그늘! 휴식! 3대 수칙"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령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후 민감 직업군인 농업인이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작업 전 준비 사항= 농작업 당일 날씨와 체감온도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농작업 중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을 준비한다.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고, 휴대용 선풍기나 보냉 장비(얼음 주머니, 냉각 목밴드 등)를 챙긴다.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은 되도록 피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농작업 중 점검 사항= 농작업 중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마다 시원한 물을 마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오르는 폭염경보가 발효되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한다. 더운 날에는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농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작업을 멈추고 쉰다. 농작업 중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피로감 등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농작업이 끝나면 그늘에서 잠시 쉬면서 수분을 보충한다. 작업 후에는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체온을 낮춘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에서 전공·특기 살려 재능 나눠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주관하는 ‘2025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가 7월 1일부터 4일까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일대에서 진행된다.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 200여명이 참여해 전기안전점검, 의료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나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는 2015년에 시작돼 올해로 10회째를 맞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 진행되는 이 캠프는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대학생과 지역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해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학생 봉사단은 7월 1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자신의 전공과 특기를 살려 ▲의료활동 ▲마을벽화 그리기 ▲이·미용 활동 ▲안경 맞추기 ▲전기 안전점검 ▲아동교육 ▲마을 소통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체와 함께 ▲하동군 옥종면·화개면 의용소방대 ▲봉사단체 ‘광양만 사람들’▲화개면 주민자치위원회 ▲농촌체험휴양마을 ‘의신베어빌리지’, ‘모암마을’ 등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해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김영배 농어촌자원개발원장은 “농촌재능나눔 활동을 통해 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