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깊이거름주기' 신농법 효과?...홍성창 농촌진흥청 기후변화평가과 연구사

"농작물 생산 최대 52% 늘리고 비료 사용량 줄여 탄소중립에 크게 기여할 것"

[현/장/인/터/뷰]...홍성창 농촌진흥청 기후변화평가과 연구사

 


- 우리나라 질소비료 사용 현황은?

질소는 농작물 재배에 필수적인 양분입니다.
우리나라 질소비료(성분)의 사용량은 연간 24.1만 톤이며(농림축산식품부, ‘19), 농경지의 질소 수지는 헥타르당 228kg입니다. 화학비료 사용량은 헥타르당 313.2kg으로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많습니다.

- 현재 영농현장의 비료 살포 방법은?

현재 영농현장에서는 비료를 토양표면에 살포한 후 로터리 작업 등으로 토양과 혼합해 주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질소 성분의 약 14% 가 암모니아 기체가 돼 공기 중으로 배출되거나 빗물에 유실되어 농작물의 질소흡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질소 성분이 공기나 물을 통해 배출되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농가 경영 측면에서도 손해입니다.

- 질소비료 사용량 절감 방법은 무엇인가?

깊이거름주기를 하면 질소 성분의 흡수율이 높으므로 웃거름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양파재배 시 생육재생기에 살포하는 웃거름 3회 중 1회를 생략하여 질소비료를 21%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작물에서도 생산량 감소 없이 질소비료 사용량을 21∼25% 절감할 수 있습니다.
 


밀 재배 시 생육재생기에 살포하는 웃거름 2회 중 1회를 생략하여 질소비료를 25% 절감할 수 있습니다. 조사료 옥수수 재배 시 웃거름의 절반을 줄여 질소비료를 25%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벼 재배 시 이삭거름을 생략하면 질소비료를 22%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깊이거름주기는 탄소중립 기술인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중 농업부문의 감축목표에 따르면 2030년까지 현재의 질소비료 사용량의 23%인 34kg/ha (현재 149 → 2030년 115kg/ha)를 줄여야 합니다.

온실가스 중 아산화질소(N2O) 배출량은 질소비료 사용량과 비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깊이거름주기는 아산화질소 배출을 줄여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 깊이거름주기는 어떤 비료를 사용하는가?

사용하는 비료는 현재 사용되는 요소비료, 용성인비, 염화칼리 등과 같은 단일성분의 비료나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복합비료를 똑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깊이거름주기’ 탄소중립 앞당길 새농법 개발!
"깊이거름주기 새농사 기술...질소비료 흡수율 높여"


현재까지 시험 결과를 보면 요소비료, 용성인비, 염화칼리 등 단일성분의 비료나 복합비료를 사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완효성 비료처럼 지속해 생육 촉진과 수량 증가 효과를 크게 나타냅니다.

- 개발한 장치의 특징은?

깊이거름주기 장치는 토양표면에 살포하던 비료를 토양 속 25∼30cm에 투입해 줍니다.
개발한 장치는 깊이갈이 쟁기를 이용한 것으로 쟁기 작업과 동시에 비료를 투입할 수 있어 농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 농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 중인 일반적인 트랙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생산량 증가 효과는?

깊이거름주기로 생산량이 벼 9%, 콩 23, 배추 24, 밀 26, 보리 27, 옥수수조사료 29, 양파 52 까지 증가하였습니다.

비료 사용량은 기존의 표준시비량과 같은 양을 사용하며 N·P·K 삼요소 밑거름(기비)을 토양 속에 투입합니다.

암모니아 배출 억제로 질소 성분의 손실이 방지되고 인산, 칼리 성분의 흡수가 늘어 작물의 생육이 촉진되고 생산량의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합니다.

 


- 농가 보급 확산을 위한 계획은?

2024년 밭작물 유해 물질(암모니아) 발생 저감 실천 시범단지 조성사업으로 9개 시군에 보급 중입니다.

깊이거름주기 장치는 생산업체를 통해 현재 농가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2025부터 2026년에는 깊이거름주기를 이용한 마늘과 양파 생산량 증가 시범사업을 계획 중입니다. <함양=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파프리카 "비타민C 덩어리!"... 건강식 먹거리로 인기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회장 조근제) 주관으로 제10회 참·참·참 파프리카 요리왕 선발대회 & 셰프 쿠킹쇼가 15일 열린다. 이른 무더위, 부족한 체력과 비타민C 보충은 파프리카로 알록달록 영양만점인 파프리카가 요즘 제철을 만났다. 특히 비타민C의 여왕으로 불리는 파프리카는 레몬과 키위의 2배, 오렌지의 3배, 당근보다는 20배가 넘는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어 하루 반개만 먹어도 성인기준 하루 비타민C 필요량이 완전 해결된다. 비타민C는 항산화 작용으로 피부의 적으로 불리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해 색소침착을 예방하고 피부의 잡티를 막아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파프리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는 면역력 강화에 좋아 무더운 여름 잃어버린 입맛을 돋우고 활력 충전에 도움을 준다. ◇ 제대로 먹으면 일거다득(一擧多得) 파프리카는 대부분 다른 재료와 함께 요리하여 먹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단맛이 강하고 아삭거려 과일처럼 생으로 먹으면 수분과 비타민C 보충에 효과적이다. 기름에 살짝 익혀 먹으면 비타민A의 체내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파프리카는 칼슘, 철 성분 등이 들어있어 등산 등 운동 후 부족해지기 쉬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파프리카 "비타민C 덩어리!"... 건강식 먹거리로 인기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회장 조근제) 주관으로 제10회 참·참·참 파프리카 요리왕 선발대회 & 셰프 쿠킹쇼가 15일 열린다. 이른 무더위, 부족한 체력과 비타민C 보충은 파프리카로 알록달록 영양만점인 파프리카가 요즘 제철을 만났다. 특히 비타민C의 여왕으로 불리는 파프리카는 레몬과 키위의 2배, 오렌지의 3배, 당근보다는 20배가 넘는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어 하루 반개만 먹어도 성인기준 하루 비타민C 필요량이 완전 해결된다. 비타민C는 항산화 작용으로 피부의 적으로 불리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해 색소침착을 예방하고 피부의 잡티를 막아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파프리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는 면역력 강화에 좋아 무더운 여름 잃어버린 입맛을 돋우고 활력 충전에 도움을 준다. ◇ 제대로 먹으면 일거다득(一擧多得) 파프리카는 대부분 다른 재료와 함께 요리하여 먹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단맛이 강하고 아삭거려 과일처럼 생으로 먹으면 수분과 비타민C 보충에 효과적이다. 기름에 살짝 익혀 먹으면 비타민A의 체내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파프리카는 칼슘, 철 성분 등이 들어있어 등산 등 운동 후 부족해지기 쉬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