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쌀의 날’…다양한 ‘미(米)’식 세계로

- 8월 18일 ‘쌀의 날’ 올해로 10주년…정부 및 식품업계, 쌀 소비 촉진 위해 쌀 활용 제품 개발 박차
- 쌀 본연의 풍미 강조한 하림 ‘더미식 밥’, 밥소믈리에 블라인드테스트에서 만족도 1위 받으며 주목
- CJ제일제당∙오리온∙SPC 던킨에서도 국내산 쌀 활용한 간식 및 음료 선보여

매년 8월 18일은 쌀의 날이다. 쌀 ‘미(米)’를 분해하면 팔(八), 십(十), 八이 되는데 쌀 한 톨을 얻기 위해선 농부의 손길이 여든 여덟 번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올해로 10번째를 맞이한 쌀의 날을 맞아 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쌀 소비 촉진 운동 및 캠페인을 펼치고 있고, 정부도 지난 2022년부터 가루쌀을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세우고 관련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정부 기관 및 기업의 노력에 힘입어 지난 3년간 쌀 소비 감소폭은 둔화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집밥족이 늘며 간편식 시장이 확대되자, 쌀 가공식품이 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견인차가 됐다. 실제로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식품업계가 식음료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 가공용 쌀 소비량은 81만7122톤으로 2022년(69만1422톤)보다 오히려 18.2%(12만5700톤) 늘었다.

 


쌀 가공식품의 대표격인 즉석밥 시장의 규모도 매년 커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즉석밥 시장은 2022년 5월 기준 4600억원대까지 몸집을 키웠고, 2025년에는 5200억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많은 회사들이 즉석밥 시장에 뛰어든 가운데,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더미식(The미식) 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더미식 밥은 100% 국내산 쌀과 물로만 지어 밥 본연의 풍미(냄새, 색깔, 식감)를 최상으로 끌어올린 제품으로, 구수한 밥 냄새 외에 이취가 전혀 없고 밥 고유의 빛깔을 띄는 것이 특징이다.

더미식 밥은 최근 밥 소믈리에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종합만족도 항목 평균 4.3점으로, 총 5개 제품 중 1위에 올랐다. 특히 더미식 백미밥은 집밥(14.3%) 대비 긍정평가 비율이 57.1%로 4배가량 높게 나오며 ‘갓 지은 집밥보다 맛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림은 최근 이를 기념해 더미식 밥 전제품에 ‘밥 소믈리에가 인정한 The미식밥, 100% 쌀과 물로만 지은 밥맛의 비밀 RICE SOMMELIER’라는 문구를 추가한 패키지 리뉴얼을 진행하기도 했다.

쌀을 활용한 제품은 즉석밥, 라면 등을 넘어 더욱 영토를 넓히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심이 높은 ‘웰니스 족’을 겨냥해 쌀로 만든 프로틴 음료까지 등장했다. 올해 상반기 CJ제일제당은 자사 브랜드 ‘햇반’을 활용한 ‘얼티브 프로틴 쌀밥맛’을 내놓았다. 국내산 쌀 분말을 사용해 고소하고 담백한 밥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용기에 햇반 고유의 디자인을 활용하여 보는 재미까지 더했다.

 


쌀 간식 제품들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오리온은 최근 100% 국산 쌀로 만든 ‘뉴룽지’를 선보였다. 일반적인 스낵과 다르게 튀기지 않고 오븐에 구웠으며 100% 국산 쌀을 사용해 가볍고 바삭한 식감과 달콤 고소한 맛이 조화를 이룬 쌀과자다.

SPC 비알코리아가 운영하는 던킨이 최근 선보인 라이스 글레이즈드는 쌀가루를 넣은 반죽으로 만들어 담백하고 쫀득한 도넛에 달콤한 글레이즈 코팅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제품이다. SPC그룹의 독자적인 연구개발(R&D)로 개발한 특허 토종 효모(SPC-SNU 70-1)와 유산균(SPC-SNU 70-2~4)을 활용한 발효종 ‘상미종’을 사용해 부드러운 풍미를 끌어 올렸고, 국내산 ‘임금님표 이천쌀’을 넣었다. 나아름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첫 공개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 박차’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11월 25일 농업생물부에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시연회 및 청년 농업인 양성을 위한 양잠농업인 간담회’를 연다. 이날 행사는 기후변화와 농촌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양잠산업 모형을 제시하고,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을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도 잠업 기관 등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대한잠사회, 한국양잠연합회, 청년 양잠농업인, 식품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립농업과학원은 개발 후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시연한다. 사육상자 운반 장치, 인공사료 급이장치, 사육부산물 제거·관리 장치로 구성돼 있고, 사물인터넷(IoT) 감지기(센서)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점검(모니터링)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인공사료 공급과 사육부산물 제거·관리를 고속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어 시간당 2만 5,000두의 누에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수작업 방식과 비교해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크게 줄어 양잠 농가 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감지기로 사육실 내부의 온도, 습도 등 환경 요소를 24시간 정밀하게 제어해 최적의 누에 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