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검역본부, '광견병 미끼백신' 상용화에 성공

- 검역본부, ㈜중앙백신연구소와 함께 유전자재조합 기술 이용한 국산 마커백신 개발판매
- 병원성 제거, 야외 안정성 향상, 미끼-항원백 일체형으로 섭취율 증가 기대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가 국내기술로 개발한 야생 너구리용 광견병 미끼백신(이하 광견병 미끼백신)이 올해 4월부터 조달품목으로 등록되어 판매된다.

 

검역본부는 2021년 10월 해당 광견병 미끼백신의 특허를 등록하고 ㈜중앙백신연구소에 관련 기술을 전수했으며, 2023년 11월에 품목허가를 취득해 올해 2월 22일 국가출하승인을 받았다.

 

광견병은 제2종 가축전염병이자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전 세계에서 매년 5만 명을 사망케 하는 질병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는 2030년까지 개-매개성 광견병을 근절하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광견병 예방을 위해 2002년부터 광견병 미끼백신을 수입하여 살포하고 있다.

 

현재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광견병 미끼백신은 벡시니아바이러스에 광견병 유전자를 삽입하여 제작한 재조합 바이러스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 노출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비닐로 포장되어 너구리가 제대로 먹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번 국산화에 성공한 광견병 미끼백신은 광견병 바이러스에서 광견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유전자를 치환해 병원성을 제거했으며, 야외바이러스와 백신바이러스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마커를 삽입하였다. 또한 백신에 안정제를 첨가해 야외 노출에 대한 안정성을 높였으며, 미끼와 항원백(bag)이 하나인 일체형으로 제작해 섭취율을 높였다.

 

조윤상 검역본부 바이러스질병 과장은 “국내기술로 개발한 광견병 미끼백신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외국제품의 수입 대체효과와 우리나라의 광견병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