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가락시장 수출협의회 농산물 수출 선적식 개최

- 수출협의회 임종세 회장 "도매시장 기반 수출이 확대되도록 최선"


가락시장 수출협의회는 ㈜중앙청과의 지원을 받아 2023년 7월 20일 가락시장 중앙청과 경매장에서 농산물 수출 선적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그동안 코로나로 급락했던 도매시장 기반 신선 농산물 수출을 재개하는 신호탄이다. 금번 선적된 농산물은 미국 하와이와 LA 두 지역으로 수출되며 품목은 가락시장에서 구매한 배, 버섯류, 무, 마늘, 김치이다.

도매시장 기반 수출은 가락시장을 관리‧운영하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서 수출업체 모집, 도매시장 기반 수출 개념 정립, 농수산식품 수출센터 및 물류시설 개소로 2016년부터 시작되었다. 가락시장 수출협의회는 2019년 수출업체가 자발적으로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협의체로 운영되고 있다.

수출협의회는 2016년부터 코로나로 수출이 멈췄던 2020년까지 23,447백만 원을 수출하였으며 농식품부에서 주관한 도매시장 기반 농산물 수출 플랫폼사업을 이행하는 등 농산물의 수급안정과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가락시장에서 어엿한 수출 유통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이원석 중앙청과 대표 “도매시장 기반으로 농산물 수출 발전 기대"
- 코로나로 축소되었던 도매시장 기반 농산물 수출을 재개하는 행사
- 향후 가락시장뿐만 아니라 강서시장을 기반으로도 수출 확대 의지 보여


지난 5년 여간 주요 수출품목 1위는 배, 2위는 버섯류(표고, 생목이, 팽이, 송이), 3위는 포도 순 이었으며 그 이외도 사과, 감귤, 토마토, 수박, 딸기 등 과일류와 마늘, 양파, 고구마, 양배추, 엽채류 및 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도매시장에서 거래하는 모든 품목을 포괄하고 있으며, 수출 국가는 미주, 아세안, 몽골, 홍콩, 싱가포르, 중동 등 이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원석 중앙청과 대표이사는 “작은 힘이나마 국내산 농산물 판매를 위하여 노력하겠으며, 도매시장을 기반으로 농산물 수출업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행사를 주관한 가락시장 수출협의회 임종세 회장은 "도매시장 기반 수출에 관심과 지원을 아까지 않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와 중앙청과에 감사함을 표함과 동시에 앞으로 수출협의회는 중앙아시아, 중동 등 신시장을 개척함은 물론 가락시장은 물론 강서시장과도 유대를 지속하여 도매시장 기반 농수산식품 수출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며 수출 의지를 보였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