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국 발효식품 미국에서 인기

- 워싱턴에서 '한국발효식품포럼' 개최…현지 전문가 통해 한국 발효식품 알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7일 워싱턴 D.C. 하얏트 리젠시에서 한국 발효식품의 우수성을 주제로 한 ‘한국 발효식품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팬더믹을 계기로 미국 내 건강 발효식품의 인기와 수요가 늘고 있어 김치와 고추장 등 대표적인 한국 발효식품의 우수성을 현지 전문가를 통해 널리 전파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프레드 브렛(Fred Breidt) North Carolina대학 교수는 집에서 직접 김치를 만들어 먹을 정도로 김치를 좋아한다고 전하며, 한국 발효식품의 특징은 ‘맛있는 건강함’에 있고 한국 발효식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김치의 유산균 등 건강에 이로운 점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줄리 스프레서(Julie Sproesser) 워싱턴 레스토랑협회 회장은 “워싱턴 D.C. 레스토랑에서도 김치, 고추장과 같은 한국 발효식품을 활용한 요리를 만날 수 있다”라면서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한국 발효식품이 건강에 좋다는 인식과 함께 그 인기가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한국산 발효식품 홍보관을 운영하여 참석자들이 한국 발효식품들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산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를 오랫동안 선보여온 워싱턴 유명 레스토랑 수석 셰프인 롭 루바(Rob Rubba)의 김치-고추장 라구파스타, 백김치 해산물 샐러드 등 한국산 발효식품을 활용한 시식 행사도 진행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춘진 사장은 “이번 포럼은 미국 현지 요리사, 레스토랑 협회 및 식품업계 관계자들에게 한국 발효식품의 우수성과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한국 발효식품의 수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펼치겠다”라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본격적인 행락철 '한우고기' 소비촉진에 총력!... '한우 앰버서더' 홍보대사 위촉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5월 28일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2025년 한우 명예홍보대사 위촉식’을 개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인 15인을 한우 명예홍보대사로 공식 위촉했다. 이번 행사는 한우에 대한 국민적 신뢰와 관심을 높이고, 한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한우 명예홍보대사는 한우의 품질, 영양학적 가치, 식문화 속 활용도를 국민에게 알리는 공익 홍보대사로, 올해는 ‘한우 앰버서더’라는 명칭 아래 기존 홍보대사 6인과 신규 위촉 9인이 함께 활동에 나선다. 각 분야의 전문성과 대중 소통 역량을 겸비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향후 활동에 더욱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기존 홍보대사로는 ▲코어소사이어티 대표 김호윤 셰프 ▲한식문화교류협회장 임성근 조리기능장 ▲벽제갈비 윤원석 셰프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영우 교수 ▲서울의료원 산부인과 과장 황인철 전문의 ▲광지한의원 박미경 원장 등 6인이 연임하며 활동을 이어간다. 올해 새롭게 합류한 9인은 축산‧식품‧조리‧의료‧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전문가 및 인플루언서들로 구성됐다. 특히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이학교 교수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축질병 ‘살처분 보상’... 방역준수시 평가액 10% 경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가축 살처분으로 인한 축산 농가의 부담을 완화하고, 가축 방역 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가축 살처분 보상금 등 지급 기준을 개선하는 내용의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령을 개정·공포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년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없고,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방역기준에 부합하는 산란계 농장에 대해 살처분 보상금 감액(가축전염병 발생, 방역기준 미준수 등의 경우에 살처분 보상금을 감액전체 평가액의 5~80%)을 경감(전체 평가액의 10%)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럼피스킨병의 경우 백신 접종과 매개체 곤충(모기, 파리 등) 방제로 예방이 가능한 점을 감안하여, 농가의 가축 방역 책임의식 제고를 위해 발생농장에 지급하는 살처분 보상금을 일부 감액(전체 평가액의 20%)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하였다. 가축전염병 발생시 감액 대상 질병은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브루셀라병(소만해당), 뉴캣슬병, 결핵병(사슴만 해당) + 럼피스킨병이 해당된다. 셋째, 동일한 방역기준 준수의무 위반사항에 대해 중복하여 감액하도록 한 규정은 한 번만 감액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