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합리적인 돼지고기 가격정산을 위한 정책토론회’

박완주 의원 “탕박등급제,생산자 소비자 모두 만족할 방안 모색돼야"

합리적인 돼지고기 가격정산을 위한 정책토론회

박완주 의원 “탕박등급제,생산자 소비자 모두 만족할 방안 모색돼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사진.천안을)의원은1 30() 국회의원회관에서 ‘합리적인 돼지고기 가격정산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이날 토론회는 ‘합리적인 돼지고기 가격정산 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국축산경제연구원 석희진원장이 좌장으로건국대학교 축산식품공학과 최승철 교수가돈육 탕박등급제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서울대학교 동물자원학과 김유용 교수축산물품질평가원 평가R&D본부 김병도 본부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인배 연구위원대한한돈협회 최성현 상무한국축산물처리협회 이성희 부회장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이선우 사무국장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 송태복과장이 참여해 돈육탕박등급제도입을 앞두고 농가의 혼란은 최소화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합리적인 돼지고기 가격정산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돼지고기 가격은 도축방법에 따라 가죽을 벗기는 방식인박피와 물에 담가 털을 뽑는 방식인탕박으로 결정된다.그러나 지난해까지 돼지고기 시장은99%가 탕박으로 거래됨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더 비싼1%의 물량의 박피 가격이 전체 돼지고기 시장의 가격을 결정했다.올해부터는 박피 시장이 사라짐에 따라 탕박 가격만이 적용되고 있으나 가격 정산에 있어 생산자와 육가공업체 사이의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박완주 의원은 “탕박 정산으로 전환됨에 따라 발생하는 생산농가의 혼란을 최소화해야한다면서 아울러현행 정산제 방식에서 향후 등급제로 전환 될 경우 도축비 분담 등 여러 가지 해결해야 될 사안들이 있다 “등급제로 전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생산자,육가공업자,소비자,정부 등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사전에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토론회 개최 배경을 밝혔다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