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산 '버섯배지' 한우 사료효과 커

국립축산과학원, 도체중 22.7kg 늘고 사육 기간 12.2일 줄어들어

'버섯배지한우 사료로 효과 좋아

국립축산과학원, 도체중 22.7kg 늘고 사육 기간 12.2일 줄어들어

 

버섯을 재배하고 난 뒤 버려지는 배지를 소의 사료로 활용하면 체중 증가와 함께 사육 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우 사육 농가 2곳의 한우 129마리를 대상으로 현장실증시험을 실시한 결과이 같은 비육효과로 1마리당 38만 원의 소득을 더 올릴 수 있음을 확인했다.

 

버섯재배 부산물은 새송이팽이버섯 등을 재배하고 남은 배지에 유산균효모균고초균등의 미생물제제와 쌀겨를 넣은 뒤 공기를 차단하는 방법(혐기성)으로 3040(여름 1015동안 발효시켜 만든다.

이렇게 만든 버섯재배 부산물의 가소화영양소총량(TDN) 72.6%(마른원료 기준)로 볏짚보다 1.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 부산물을 섬유질배합사료(TMR)에 평균 10%씩 넣어 한우 육성기부터 약 2년 동안 먹인 결과출하까지 평균 29.7개월이 걸렸다이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먹인 대조구(30.1개월)에 비해 12.2일이 줄어든 수치다.

또한도체중은 434.5kg으로 대조구(411.8kg)보다 22.7kg 증가했고육량 형질인 등심단면적은 5.5더 넓게 나타났다.

육질 형질인 근내지방도(No.)도 대조구보다 0.4 정도 높았으며육질등급지수는 4.0으로 전체 평균 일플러스(1+)등급을 나타냈다.

 

우리나라의 버섯재배 부산물은 연간 167만 톤이며사료화 가능 부산물은 58% 수준인 97만 톤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버섯재배 부산물의 한우 비육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시범사업 확대방안을 마련해 기술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진현주 농업연구사는 한우의 고급육 형질을 최대한 발현하면서도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버려지는 버섯 배지를 사료 자원화에 활용하면 특용작물과 축산두 산업에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