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 태양광발전사업 참여희망농업인 全과정 지원!

오는 9일까지 인근 지역농협에 신청, 농가소득 증진을 위한 사업편의 제공

농협, 태양광발전사업 참여희망농업인 과정 지원!

오는 9일까지 인근 지역농협에 신청, 농가소득 증진을 위한 사업편의 제공

사업경제성 분석, 인허가 대행, 우량업체 알선, 자금대출 안내 등 지원

농협(회장 김병원)은 정부의 농촌 태양광 보급 확대 정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농가소득 5천만원 달성을 위해 한국에너지공단과 공동으로 농촌 태양광발전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오는 9()까지 지역 농축협을 통해 사업 참여 희망 농가의 신청을 받고 있다. 태양광발전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농업인(농업인 단독 또는 농업인 공동 참여)은 지역 농·축협을 방문하여 "농협 태양광 발전사업 참여신청서"를 작성한 후 담당자에게 제출하면 된다.

 

태양광은 농업진흥구역내(절대농지)에 설치가 불가능하며(, 20151231일 이전에 준공한 건축물의 지붕 등에만 설치 가능) 1MW이상 태양광사업 발전소 주변지역 농업인이 최소 5인 이상 참여하는 경우 정책 지원이 우선된다. 농협은 선정된 농업인에게 사업경제성 분석 및 사업인허가 대행, 우량 시공업체 알선을 통한 책임시공과 설치가격 인하, 시설 자금 대출 안내 등을 지원하게 된다.

 

금융지원은 농협 상호금융대출과 정부 정책대출로 구분되며, 농협 상호금융대출은 금리 연 3.4%(1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정부 정책대출은 금리 연 1.75%(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로 지원된다. 농업인은 정부 정책대출시 주요서류(사업자등록증, 발전사업 허가증, 개발행위 허가서 등)를 구비하여 한국에너지공단에 온라인으로 신청해 추천을 받아야 한다.

 

농협 김병원 회장은 "농협은 시설자재 공동구매 및 금융지원으로 설치비 부담을 낮추고 농가의 태양광사업 인허가 대행부터 REC판매까지 전 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며, 건축물 지붕 등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태양광발전이 농가소득 5천만원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은 에너지 생산인증서이다.

 

태양광발전사업 신청문의는 인근의 지역 농·축협 또는 농협 에너지사업부(02-3782-7364~6)로 문의 가능하며, 정책자금지원 문의는 한국에너지공단(031-260-4811, 4814~5) 또는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복지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