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2025 산림·임업전망 사전등록 시작

- 2025년 1월 15일(수) 9시부터 17시까지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
- 국립산림과학원, ‘함께 누리는 산림, 지속가능한 임업’을 주제로 산림·임업의 현재와 미래 이야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23일(월), 2025 산림·임업 전망의 참가 신청을 위한 사전등록을 받고 있다.

이번에 8회를 맞이한 2025 산림·임업 전망은 산림과 임업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변화와 동향을 종합적으로 진단·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과 임업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2025 산림·임업 전망은 ‘함께 누리는 산림, 지속가능한 임업’이라는 대주제 하에 개최된다. 대주제에는 산림기본법의 기본 이념과 국가산림정책의 기본 방향에 따라 현재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가 산림의 기능과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산림을 지속가능하게 보전하고 증진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주제의 가치를 반영한 특별강연과 ▲함께 만드는 숲 ▲함께 지키는 숲 ▲함께 살리는 숲 ▲함께 누리는 숲 4가지 세션으로 구성된다.

사전등록은 12월 23일부터 오는 1월 10일 18시까지 2025 산림·임업 전망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배재수 원장은 “산림·임업 전망은 산림과 임업 분야의 최신 동향과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나누고 새로운 산림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확산하는 자리다”라고 말하며, “임업인을 비롯한 관계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산림·임업 분야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2025 산림·임업 전망'은 2025년 1월 15일(수) 9시부터 17시까지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