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아워홈, 일반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 아워홈 중심 12개소 컨소시엄 스마트 공장·스마트 해썹 구축 성과 공유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과 ㈜아워홈은 11월 28일(목)에 ㈜아워홈 본사(서울 마곡)에서 일반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식품산업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으로 구축된 아워홈 자사 및 협력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 성과와 협업플랫폼(이력추적시스템, 위해정보 및 위해차단, 통합 클레임 관리 등)개발 성과를 공유하였다.
 
일반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 주관하는 사업으로, 개별공장 중심의 스마트화를 넘어 가치사슬 또는 협업 기업 단위로 스마트공장 기반 데이터·네트워크를 연결해 원·부재료 관리, 수주, 발주, 자재관리·물류 등 공동·협업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2022년 정부 추진 디지털클러스터 사업에 선정된 아워홈 컨소시엄12개소는 21개월에 걸쳐 시스템을 구축 개발하였다. 세부 개발 시스템은 통합 품질 안전 관리 플랫폼(QSIS), 제조관리시스템(MES), 품질 관리 시스템(QMS)이며, 통합 식품 안전 관리 및 데이터 모니터링 기능을 고도화했다.
 
해썹인증원은 기획기관으로서 ‘Farm To Meal’이라는 주제로 컨소시엄을 기획, 구성해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한 공동 활용 협업 솔루션과 개별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또한, 스마트 해썹 기술지원을 통해 컨소시엄 12개소 중 11개소가 스마트 해썹 등록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썹인증원 한상배 원장은 “협업플랫폼을 통해 식품 위해 발생 시 이력 추적, 위해차단 등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식품 안전 강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희망재단,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설명회 성황리 개최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은 최근 대전역 우암홀에서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설명회를 지자체 담당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6년에 진행되는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운영계획을 안내하여 현장 담당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개요, 주요 변경사항과 공모·선정절차, 일정 등을 안내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구체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6년에는 새벽돌봄(오전 7~9시) 등 현재 돌봄이 미치지 못했던 시간대의 틈새보육을 시범 운영하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리에서는 주말 돌봄 지원대상의 연령 상향 등 현안사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정책개선에 대한 현장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 우만수 사무총장은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의 돌봄 여건을 개선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각 지역의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돌봄 모델이 현장에 안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촌희망재단,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설명회 성황리 개최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은 최근 대전역 우암홀에서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설명회를 지자체 담당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6년에 진행되는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운영계획을 안내하여 현장 담당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개요, 주요 변경사항과 공모·선정절차, 일정 등을 안내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구체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6년에는 새벽돌봄(오전 7~9시) 등 현재 돌봄이 미치지 못했던 시간대의 틈새보육을 시범 운영하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리에서는 주말 돌봄 지원대상의 연령 상향 등 현안사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정책개선에 대한 현장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 우만수 사무총장은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의 돌봄 여건을 개선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각 지역의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돌봄 모델이 현장에 안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