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서울우유협동조합, 동부낙농기술센터와 사료기지 합동 준공식 성료

-문진섭 조합장 "전사적으로 역량 집중해 앞으로도 낙농업 기반을 든든히 지켜나가겠다” 다짐
-서울우유협동조합, 6월 11일 경기도 김포에 소재한 '경인낙농지원센터' 준공식도 가져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은 최근 경기도 남양주에서 동부낙농기술센터와 사료기지의 성공적인 준공을 기념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행사는 경기도의회 이병길 의원, 경기도청 김종훈 축산동물복지국장, 남양주시의회 이정애 의원∙김동훈 의원∙김상수 의원∙원주영 의원, 남양주농업기술센터 조성기 소장∙송종일 농축산지원과장, 경기도 북부동물위생사업소 정복수 소장, 진건 퇴계원 문용기 행복복지센터장, 남양주축산농협 이덕우 조합장, 양평축산농협 정규성 조합장, 전 진건농협협동조합 안성기 조합장, 송능리 방재천 이장을 포함해 관계기관 및 인근 지역주민 등 약 40여명의 내빈과 조합 임직원, 조합원 및 가족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또한 이날 남양주 및 양평 축산계에서 기증한 기념석을 공개하며 동부나눔지원센터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고, 참석한 모든 내빈과 조합원 및 조합원 가족들이 함께한 가운데 테이프 커팅식을 끝으로 제막식이 마무리됐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동부낙농기술센터 및 사료기지의 준공을 계기로 더욱 향상된 집유 위생 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한 유제품을 생산, 공급해 “우유로 세상을 건강하게"라는 조합의 경영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다짐과 함께 준공식을 성료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은 기념사를 통해 “2026년부터 수입 유제품에 대한 관세가 폐지되고, 외국산 저가 유제품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인해 국내 유제품 시장에서 국산 원유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이를 적극 대응하기 위해 최근 A2+ 우유를 출시했고 전사적으로 역량을 집중해 앞으로도 대한민국 낙농업의 기반을 든든히 지켜나가겠다”는 강한 다짐을 전했다.

한편 서울우유협동조합 동부낙농기술센터는 84개 조합원 목장에서 생산한 일평균 약 100톤의 원유를 집유하며 각종 낙농 기술과 정보를 제공해 안정적인 목장 경영을 돕고 있다. 6월 11일 경기도 김포에 소재한 경인낙농지원센터 준공식도 개최됐다. 나남길 kenews.co.kr

[사진] 서울우유협동조합 동부낙농기술센터 및 사료기지 준공식 성료. 서울우유 문진섭 조합장 외 주요 참석자 기념촬영.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