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가락시장 대아청과, 정가수의매매 '전담 경매사' 기능 고도화 기대

- 이상용 대아청과 대표 "정가수의매매 전담 경매사 운영으로 산지 거래처 발굴, 가격변동성 완화 등 전문성 높아질 것"
- 대아청과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확대 정책과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정착에도 적극 기여할 듯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청과부류 도매시장법인 대아청과(주)는 5월 4일(목) 전임직원이 모인 가운데 대회의실에서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전담 경매사 임명식을 개최하고,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조기 정착과 거래활성화를 위하여 경력 25년 이상의 경매사 5명을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전담 경매사로 우선 임명했다.

대아청과는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도매시장법인의 기능과 역할을 고도화함은 물론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확대 정책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정착에도 적극 기여하기 위하여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전담 경매사를 운영한다고 그 배경과 이유를 밝혔다.

 


이상용 대표이사는 “경매 중심의 수동적 영업방식 만으로 도매시장법인이 경쟁력을 지켜나가긴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 있어, 앞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농산물 판매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활성화를 통해 출하자에게는 산지 개발과 판로 확대로 안정적 수취가 제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중도매인 등 구매자에게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거래여건 조성을 도모함으로써 도매시장법인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고도화 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날 임명 된 김진구 경매사는 “오랜시간 구축 된 산지·소비지 네트웍과 영업 노하우를 활용해 대아청과의 예약형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뿐만아니라 새로운 농산물 거래모델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