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신년사

"국내 생산기반 강화로 식량안보 확보와 물가관리를 고도화하겠습니다"

2023년 계묘년(癸卯年) 검은 토끼의 해가 밝았습니다.


토끼는 번성과 풍요의 상징이자 온순하면서도 지혜로운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몇 년간 지속된 불확실성의 터널을 빠져나와 토끼처럼 지혜롭고 조화롭게 도약할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올 한 해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확보’라는 사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국내 생산기반 강화를 통해 식량안보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물가관리를 위해 수급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겠습니다.

공사는 올해 밀·콩 등 기초곡물의 국내 자급기반 구축과 상시 비축량 확대, 곡물수급 불안 대응 해외곡물정보 고도화와 안정적 해외조달을 통해 곡물수급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또한, 농수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배추·양파 등 주요 채소류에 대한 선제적 수매비축과 적기 방출을 통해 수급불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농가소득을 지지하겠습니다.

농산물 유통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공사는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통적인 도매시장 의존구조에서 벗어난 비대면 거래 플랫폼 ‘농식품 온라인거래소’를 구축 중에 있으며, 스마트 APC 전환 확대를 통해 농산물 입고부터 출하까지의 전 과정을 디지털 운영체계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한 농식품산업 정보 수집·거래·가공, 농넷의 가격예측시스템 고도화, 공공급식통합플랫폼을 통한 공공급식 확대, 라이브커머스·온라인경매 활성화 등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이 농수산식품 수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겠습니다.
공사는 농수산식품 수출전담기관으로서 맞춤형 수출지원체계를 구축·운영함으로써 대한민국 농식품 수출의 체급을 한 단계 높이고자 합니다.

먼저 통합조직화 확대, 수출유망기업 육성 등을 통해 수출경영체의 기초체력을 강화하고, 수출전략품목 및 차세대유망품목 육성을 통해 수출 농수산식품의 시장성과 경쟁성을 확보하겠습니다. 아울러 2024년 수출물류비 중단에 대응하여 수출기업에 대한 효과적 지원방안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국산 농수산식품의 소비를 확대하고 식품·외식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습니다.
식품외식기업 국산원료 농산물 구매 지원, 농공상 중소기업 제품 판로지원, 전통발효식품 소비저변 확대, 식품외식기업 컨설팅 등을 통해 우리 식품외식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 국내외 최신정보 제공, 청년 인력양성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국내 식품외식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공공기관으로서의 노력을 이어가겠습니다.
먹거리 분야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공사는 저탄소 식생활 캠페인 ‘그린푸드 데이’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공공 및 민간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공사가 ESG경영 실천을 선도하고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습니다.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해 나가겠습니다.
‘김치의 날’ 제정 지원 등 다양한 한국 농수산식품이 세계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대한민국의 위상 제고에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3년에도 공사에 따뜻한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리며, 올 한 해 모든 분들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송미령 장관, “가락시장 공공성 높여야...경쟁으로 유통구조 개선할 것”
국회를 비롯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락시장 등 전국 공영도매시장들의 공공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는데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1월 12일(수) 밤 9시경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가락시장 야간경매장을 방문하여 배추, 무, 대파 등 주요 김장재료의 출하 상황과 도매가격 등을 점검하고, 도매법인 및 중도매인 등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조기에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올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김장성수기(11월 중순~12월 상순) 기간 공급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아청과 야간 경매장을 점검한 송장관은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으므로 출하자들에게 작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가락시장 도매법인에게도 산지 작황 및 소비 동향을 수시 모니터링하는 등 산지와 소비지 간 조정을 통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송미령 장관, “가락시장 공공성 높여야...경쟁으로 유통구조 개선할 것”
국회를 비롯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락시장 등 전국 공영도매시장들의 공공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는데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1월 12일(수) 밤 9시경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가락시장 야간경매장을 방문하여 배추, 무, 대파 등 주요 김장재료의 출하 상황과 도매가격 등을 점검하고, 도매법인 및 중도매인 등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조기에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올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김장성수기(11월 중순~12월 상순) 기간 공급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아청과 야간 경매장을 점검한 송장관은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으므로 출하자들에게 작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가락시장 도매법인에게도 산지 작황 및 소비 동향을 수시 모니터링하는 등 산지와 소비지 간 조정을 통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