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중국 과학자들이 이산화탄소(CO2)와 전기를 사용해 단세포단백질(SCP)을 생산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인 ‘환경과학 및 생태기술’에 공개했다는 것이다. 이 새로운 바이오공정의 핵심은 혐기성 및 호기성 공정을 통합하는 이중 반응기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신기술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미생물 전기합성(microbial electrosynthesis, MES)을 사용하여 CO₂를 필수 중간체인 아세테이트(acetate)로 변환한다. 이후 이 아세테이트는 두 번째 반응기로 공급되어 호기성 박테리아가 단세포단백질(SCP)을 생성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17.4g/L의 건조 셀 중량을 산출하여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특히 이 SCP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74%에 달하는 인상적인 단백질 함량으로, 이는 어분(68%)이나 대두(48%)와 같은 기존 단백질 공급원을 크게 능가하는 것이다. 혁신적인 이 신기술은 이산화탄소를 단백질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어 기후 변화 및 식량 문제 해결 등 탄소 순환 경제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업계 관계자 및 언론인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산업 동향 및 전망 세미나’를 28일 서울 엘타워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레드, 그린, 화이트, 디지털바이오 등 바이오산업 전 분야의 핵심 주제에 관련된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산업 동향 파악 및 2025년도 전망을 예측하여 다양한 바이오산업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자 개최됐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국바이오협회에서 바이오산업 동향 및 이슈에 대해 기조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외부 전문가의 산업 분야별(레드, 화이트, 그린, 디지털) 동향에 대한 발표 세션이 이어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이 ‘2024년 바이오산업 동향 및 2025년 전망’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이어 박봉현 과장이 ‘주요국 바이오 CDMO 현황 및 우리의 지원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승규 부회장은 “2024년 크고 작은 성과, 그리고 어려움도 있었으나 투자심리 위축은 올해 국내 바이오업계의 가장 큰 이슈였다”고 말하며, “레드, 그린, 화이트, 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 바이오기업들의 비즈니스 동향과 정책 수요를 파악해 큰 틀에서 바이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분야 정책금융 우대 추천기업을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정책금융 우대 추천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대출금리 및 보증비율 등을 추가 우대하여 기업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융위원회 및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의 정책금융기관과 협력하여 5월 31일부터 6월 24일까지 바이오분야 핵심 우수기업들을 대상으로 금융우대를 추진한다. 한국바이오협회는 기업이 제출한 신청서와 증빙서류를 접수∙검토하여 요건 충족 기업 명단을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를 거쳐 이들 정책금융기관에 송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신청자격은 국내 바이오헬스 분야 제조업 및 연구개발(서비스) 기업이면서 바이오산업 관련 시설 및 운영자금 용도로 자금조달이 필요한 기업으로 ①산업통상자원부 인증기업 ②연구개발집중도 ③우수기술력 보유 ④성장 가능성 등 4개 요건 중 2개 이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신청기업은 내달 24일까지 한국바이오협회로 신청서와 관련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된다. 이후 요건에 부합하는 기업 명단은 정책금융기관으로 전달되며, 심사를 거쳐 우대 지원이 제공될 예정이다. 공고 내용과 신청양식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바이오협회 홈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