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등이 2025년도 신년 휴업에 들어간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에 따르면 2025년 을사년 신년연휴를 앞두고 가락시장과 강서시장 등 휴장계획을 안내하고 있다. 가락시장 청과부류 중 채소부류는 ’24. 12. 30.(월) 저녁까지 경매가 열리고 ’25. 1. 2.(목) 저녁부터 다시 개장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24. 12. 31.(화)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5. 1. 3.(금) 새벽 경매가 재개된다. 가락시장 수산부류 중 선어‧패류부류는 ’24. 12. 31.(화)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5. 1. 2.(목)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건어부류는 ’24. 12. 31.(화)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25. 1. 2.(목) 아침 경매부터 재개된다. 또한,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의 경매제의 채소부류는 ’24. 12. 30.(월) 저녁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5. 1. 2.(목)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24. 12. 31.(화) 아침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5. 1. 3.(금) 새벽 경매부터 진행된다. 시장도매인제의 경우 ’24. 12. 31.(화) 18시까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은 2024년 갑진년(甲辰年)을 맞이하여 신년 휴업에 들어간다. 청과시장은 올해 12월 30일 18시부터 내년 1월 2일 18시까지 휴장하며, 수산시장은 선어·패류의 경우 12월 30일 18시부터 내년 1월 2일 18시까지, 건어부류의 경우 12월 30일 18시부터 내년 1월 2일 03시까지 휴장한 이후 경매가 재개된다. 신년 휴업은 도매시장 관리운영 조례에 따라 실시하는 것으로 경매가 없는 토요일이 포함되면서 예년과 달리 휴장 기간이 하루 늘었다. 구리농수산물공사 김진수 사장은 “신년 휴업일은 유통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하였다”며 “유통인과 함께 농수산물 수급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 “생산자는 휴업일 기간을 유념하여 도매시장에 출하하시기 바라며, 소비자는 휴업일 기간에도 신선하고 싱싱한 농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으니 많이 방문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은 2022년 임인년(壬寅年)을 맞이하여 12월 31일 18시부터 내년 1월 2일 18시까지 휴장한 이후 경매가 재개된다. 구리농수산물공사 최대성 유통혁신처장은 “신년 휴장일은 유통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하였으며, 앞으로도 농수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출하자와 생산자는 휴업일 기간을 유념하여 도매시장에 출하토록 당부”하였으며 “소비자는 휴업일 기간에도 신선하고 저렴한 농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으니 많이 방문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서울특별시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가락시장’) 등이 2022년 신년 휴업에 들어간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가락시장 청과부류 중 채소부류는 ’21. 12. 30.(목) 저녁까지 경매가 열리고 ’22. 1. 2.(일) 저녁부터 다시 개장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21. 12. 31.(금)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2. 1. 3.(월) 새벽 경매가 재개된다. 가락시장 수산부류 중 선어‧패류부류는 ’21. 12. 31.(금)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2. 1. 2.(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건어부류는 ’21. 12. 31.(금)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22. 1. 3.(월) 새벽 경매부터 재개된다. 더불어,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이하 ‘강서시장’)의 경매제의 채소부류는 ’21. 12. 30.(목) 저녁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2. 1. 2.(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21. 12. 31.(금) 아침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22. 1. 3.(월) 새벽 경매부터 진행된다. 시장도매인제의 경우 ’21. 12. 31.(금) 18시까지 거래가 이뤄지고 ’22. 1. 2.(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하고 있는 화훼류 소비를 촉진하고 농가에 대한 자금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한다. 우선 공공부문 화훼소비 확대를 위해 농식품부, 소속기관, 산하기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21개 기관은 사무실 꽃 생활화(1Table 1Flower), 화훼장식, 특판행사 등을 통해 꽃 270만 송이 구매함으로써 신수요를 창출키로 했다. 2~3월 기간 중 관련기관에서는 화원과의 상생, 꽃 장식 및 사후관리를 위해 인근 화원(꽃집)과 연계, 계약을 맺어 꽃 구매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은행 등 상품을 가입하는 범 농협 고객을 대상으로 꽃다발 선물 행사를 실시한다. 농식품부는 꽃 소비가 많은 유수 호텔업계와 화훼류 소비 확대 방안을 중점 협의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정부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사무실 꽃 생활화를 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부터 화훼 소비를 확산하고 범국민 꽃 소비촉진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온라인을 통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온라인을 통한 화훼 판매를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오프라인 판촉도 추진한다. 2월 13일부터 생산자단체와 연계한 온라인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1월 7일 서울 양재동 화훼사업센터에서 ‘2020년 화훼공판장 초매식’을 개최했다. 이로써 aT화훼사업센터는 1월 3일 절화류, 6일 난(蘭)에 이어 7일 관엽류까지 새해 첫 경매를 순조롭게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 초매식에는 부류별 중도매인과 경매사 등 도매시장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2020년 화훼류 경매의 성공을 기원했다. aT화훼사업센터는 꽃문화복합공간 ‘F스퀘어’ 운영 등 꽃문화를 선도함으로써 국내외 경기위축에도 불구하고 2019년 경매금액이 전년 대비 3% 증가한 1,221억원을 달성했다. aT는 올해도 일상생활 속 꽃 소비 확대를 통한 화훼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오정규 aT 유통이사는 “2020년은 화훼산업법이 본격 시행되는 중요한 해”라면서 “국내 화훼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