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진보당 전종덕 의원<사진>이 쌀수입 중단, 농민헌법 쟁취를 위해 직접 트랙터 운전대를 잡고 전국농민회총연맹 3차 트랙터 행진 선두에 섰다. 남태령을 넘어 윤석열 파면 선봉에 섰던 전국농민회총연맹 전봉준투쟁단이 6일 오전 10시 전남도청 앞에서 출정식을 가졌다. 출정식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 하원오 의장과 진보당 김재연 대선후보가 참석했다. 5월 6일 전남 무안에서 출발해서, 광주→전주→공주→평택→수원을 거쳐 10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는 전국농민대회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길을 나섰다. 3차 전봉준 트랙터는 35대로 구성했고 여성농민 트랙터 행진단도 별도로 구성했다. 진보당 전종덕 국회의원, 오은미 전북 도의원, 오미화 전남 도의원 등 여성정치인들이 앞장섰고 여성농민들이 직접 트랙터 9대를 운전하며 선두에서 4박 5일간 트랙터 행진단을 이끈다. 출정식에서 전종덕 의원은 “농민은 윤석열이 탄핵 된 세상에서 또 다시 트랙터에 시동을 겁니다. 대통령 후보들을 만나러 서울로 간다. 5,300만 모든 국민이 보는 앞에서, 신문 한 줄도 나오지 않는, 아무도 모르는 약속이 아니라 빼도 박도 못할, 대문짝만한 농정개혁의 맹서를 대통령 후보들에
한국농정신문 주관으로 '청년농업인 육성자금 피해사례 보고와 지원대책 촉구 간담회'가 22일 국회에서 열렸다. 이날 전북 익산에서 영농 활동을 하고 있는 김현태 청창농은 "정부 지원을 믿고 청년 창업농에 뛰어들었으나, 지원이 수월하지 않고 생각보다 청창농으로 영농활동 하는게 힘들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는 하소연과 함께 지원대책을 촉구했다. 또 다른 청주 권민서 청창농도 "청창농에 대한 대출규제를 완화해주세요"라며 현실적인 청창농 지원육성을 서둘러달라며 정부 대책을 잇따라 촉구하고 있어 정부 대응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7월 3일 여의도에서 열린 한우법 제정, 사료가격 즉시인하, 한우 반납투쟁에 참가했다. 전국한우협회에서 주최한 집회에서 전종덕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취임하자마자 무관세로 수입소고기 10만톤을 들여오면서부터 소값은 하락하고 사료값은 폭등하고 농민들은 파산 직전”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한우법 마저 거부해 한우농가에 대못을 박았다”고 비판했다. 전종덕 의원은 “오는 12월이면 사료안정자금 상환일이 돌아오는데 상환기간을 연장하고 이자를 감면해 당장 한우농가의 숨통부터 트이게 해야 한다”고 말하고 “정부는 시급하게 한우암소 2만마리를 긴급 수매해 한우가격 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10년마다 돌아오는 한우값 폭락 대책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한우법 제정으로 한우 생산조절에 정부가 직접 나서도록 하고 나아가 기업의 한우생산 참여를 제한해 시장 진입을 막아 100대 문화유산이자 토종 유전자원인 한우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진보당이 범람하는 수입소고기, 기업의 한우생산 진입을 막는 방파제가 되겠다“며 ”한우법 제정에 앞장서 한우정책 국가책임을 더욱 높이겠다”고 말해 한우농가들의 박수를 받았다. 전국한우협회는 ‘똥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