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사료 포대에 성분표시 서둘러라!"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민경천 위원장 "선제적 수급조절에 노력...봄철 소비촉진 몹시 중요하다!"
- 민경천 위원장 "미국 소고기 30개월령 이상은 수입 절대 반대한다"


"농가들 현장의견 목소리를 최우선으로 할 것입니다"


한우산업 발전을 위해 민경천 신임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전국한우협회장)이 최근 농축산전문지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는 자리에서 강조한 일성이다.

 

미국 트럼프 2기정부가 소고기 30개월령 이상 수입개방을 압박해 오고 있는 것과 관련해, 민 위원장은 "30개월령 이상은 절대 안될 말이다. 정부에게도 불가를 확인했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한우 소고기 가격회복과 한우 수급안정을 위한것과 관련해서 민 위원장은 "한우고기 유통단계 최소화에 총력을 쏟을 것이다.

 

그동안 수급안정을 위한 사업이 중복성사업이 적지않게 있었으나, 앞으로는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도 밝혔다.

 

 

민경천 위원장은 특히, 한우의 선제적 수급조절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한우고기 소비는 일정한 패턴이 있는데, 4월과 5월 6월 소비가 봄철부터 집중적으로 촉진돼야만 추석명절 특수가 끼어있는 10월 전후로 한우가격이 좋게 형성된다"고 강조해 선제적인 소비촉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느끼기는 쉽지않겠지만, 실제로 최근 선제적인 소비촉진 노력이 진행되면서 한우고기 유통가격인 평균단가에서 소폭 상승하는 효과로 보고있는 점을 보면 민 위원장의 선제적 수급조절 노력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주고 있기도 하다.

 

민 위원장은 농가들이 가장 민감하게 중시하고있는 사료 성분표시 등 사료와 관련해서도 강한 불만과 함께 개선의 필요성을 주문했다.

 


"길거리에서 몇천원짜리 양말을 한짝을 사봐도 성분표시가 돼 있다. 그런데 20kg 사료 1포대를 1만 5천원씩을 농가들은 어렵게 주고 구입하는데, 사료포대에 단백질함량 등 아무런 성분표시가 없다는게 말이나 되느냐? 서둘러 개선이 필요하다"며 개탄스러워 했다.

여기에 민 위원장은 작심한 듯 "이 문제는 국회와 정부에서도 공감을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농민들 권익신장을 위해서라도 조만간 개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민 위원장은 한우산업과 농촌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내놓으며 밝은 웃음을 지어 보였다. 

 

기자들을 한자리에서 만난 민 위원장은 어려움에 빠진 한우산업 발전을 한단계 더 도약시킬 자신감까지 내비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다음에 계속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