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농진청, 지역과 상생 양봉산업 활로 모색 … ‘꿀샘식물’ 심어

- 농촌진흥청, 21일 칠곡 꿀벌나라 테마공원에 헛개나무 심어
- "지역 양봉농가 소득 증대, 양봉산업 발전 계기 될 것"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헛개나무꿀 생산을 장려하고 헛개나무꿀과 양봉산업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3월 21일 경북 칠곡 꿀벌나라 테마공원에서 꿀샘식물(밀원수, 蜜源樹)을 심었다.

 

꿀샘식물은 꿀벌이 꿀과 꽃가루를 수집하는 나무다. 양봉농가의 주요 소득원이며, 산림 가치를 높이는 우수 자원이다.

 

이번 행사에는 정희용 국회의원, 김재욱 칠곡군수를 비롯해 지역 양봉농가, 청년 양봉인, 칠곡군 어린이 10여 명이 자리를 같이했다.

 

또한, 경북도농업기술원, 칠곡군농업기술센터 관계관과 한국양봉협회, 한국한봉협회, 한국양봉농협조합, 다부처공동연구기관, ㈜농심 등 유관 기관이 참석해 지역과 함께하는 양봉산업의 활로를 모색했다.

 


이날 식재한 황칠나무, 이나무 등 400여 그루는 국립산림과학원이 후원해 지역 양봉농가가 다양한 꿀샘식물을 조성할 수 있게 도왔다.

 

6월에 꽃이 피는 헛개나무에서는 헥타르(ha)당 약 180kg의 벌꿀을 얻을 수 있다. 열매와 가지는 약재로도 이용하는 등 쓰임이 많은 나무다. 칠곡군은 헛개나무 단지를 조성해 헛개나무꿀 생산을 장려하고 헛개나무꿀을 칠곡군 대표 특산물로 육성하는 중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칠곡은 대한민국 양봉산업이 시작된 역사적인 지역이다.”라며, “지역과 상생해 양봉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도 꿀샘식물 육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식재 행사를 꾸준히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이상기후로 인한 꿀샘식물 감소에 대응해 2017년 충북 진천을 시작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 부안의 위도꿀벌격리육종장, 완주, 전남 장흥, 경북 상주, 충북 괴산, 충남 부여 등 전국 여러 지역에 꿀샘식물을 심었다. 나남길 kenews.co.kr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21일 경북 칠곡 꿀벌나라 테마공원에서 헛개나무꿀 생산을 장려하고 양봉산업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정희용 국회의원, 김재욱 칠곡군수 등 참석자들과 꿀샘식물(밀원수)을 식재를 하고 있다.<사진=농촌진흥청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