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축산환경관리원 문홍길 원장 신년사

- 저탄소 축산물 생산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과 시스템의 도입
-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 만족 동물복지 축산물 생산은 피할 수 없는 과제...잘 대응한다면 새로운 기회"

【신•년•사】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축산환경을 개선하는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에 매진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겠습니다!

 

존경하는 축산업 관계자 여러분,

 

새해의 첫 햇살과 함께 힘찬 2025년이 시작되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2024년은 축산업계에 많은 도전과 어려움이 있었던 한 해였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같은 질병 발생과 생산비 증가 등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묵묵히 축산업의 기둥을 지켜주신 모든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2025년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중요한 기점이 될 것입니다.

특히 저탄소 축산물 생산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및 시스템의 도입과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동물복지 축산물의 생산은 피할 수 없는 과제지만 잘 대응한다면 동시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지난해 경축순환농업 실현을 위한 액비의 안정적 수요처 확보를 위해 액비를 웃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나 바이오가스로 만들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노력과 더불어 토양의 양분과잉 문제 해결 방안의 일환으로 가축분뇨 퇴비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퇴비 수출 플랫폼’ 구축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자발적으로 축산환경을 개선하는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 등 선도 농가와 그들을 도울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장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에 필수적인 축산환경 관련 통계를 DB화하여 국가통계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축산업은 단순히 가축을 생산하는 일이 아닙니다. 우리의 식탁을 책임지고, 지역 경제를 지탱하며, 가축분뇨의 ‘리사이클링’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순환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 중요한 국가산업입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축산업 실현을 위해 2025년에도 여러분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겠습니다.

 

환경보호와 경제성 간 균형과 동물복지와 생산성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솔루션 모색에 고민하겠습니다. 또한 여러분의 열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분 곁에서 항상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새해에는 모든 분의 노력과 헌신이 더욱 빛을 발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