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기평, ‘2025 농식품 R&D 미래전망 심포지엄’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주최하고,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원장 노수현) 주관하는 ‘2050 농식품 R&D 미래전망심포지엄’이 ‘농식품 R&D 현재와 미래전망’을 주제로 10월 29일(화)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와 함께 현장 참여행사로 활발히 진행되었다. 전문가의 발표는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발표 내용과 현장 참여자의 질의를 기반으로 종합토론이 진행되었다.
주제발표를 진행한 농식품 R&D 공동기획단 김용주 분과위원장(스마트농업)은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해서는 농업 전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기술과 이를 통한 솔루션 개발이 필요하며, 미래 농업은 데이터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생성형 AI 농업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농식품 R&D 공동기획단 강정택 분과위원장(동물질병)은 “축산생태계 위협과 반려동물산업 성장의 기회가 공존하는 현 상황 하에서 관련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미래 R&D는 가축방역 기술고도화와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통해 동물 삶의질이 향상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 주제발표를 진행한 농식품 R&D 공동기획단 이은주 분과위원장(푸드네크)은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식품 소재 확보 단계부터 생산·가공, 유통·판매 등 식품산업 전 주기 첨단기술개발 및 활용”에 대해 강조했다. 
사동민 교수 주재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농식품 R&D 주요 분야의 현황과 미래전망에 대해 여러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농기평 노수현 원장은 “우리 농식품 분야 과학기술의 주요 이슈와 성과 그리고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농기평에서는 전문가분들의 말씀을 토대로 농식품 R&D 혁신을 위해 R&D 영역에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을 더욱 고민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