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기평, 2024 농식품 R&D 테크비즈위크 개최

- 농업의 가치, 기술로 담다...10.28(월)~29(화) aT센터에서 개최
-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 시상, 농림식품 R&D 합동설명회, 농식품 R&D 미래전망 심포지엄, 농식품 기업 투자설명회 등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노수현)은 10월 28일(월)부터 29일(화) 양일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2024 농식품 R&D 테크비즈위크(이하 테크비즈위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기평이 주관하는 테크비즈위크는 2022년 농식품 혁신기술 로드쇼를 개최한 이후로, 기술상용화 연계 프로그램 등을 확대 개편하여 2회째를 맞는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팜, 애그테크,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등 첨단기술과 결합한 우리 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함께 그려보자는 의미에서 ‘농업의 가치, 기술로 담다’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연구자, 농산업체, 투자자 등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협업을 이끌어 낼 예정이다.

 

올해 테크비즈위크는 농식품 R&D 혁신 기술의 상용화 성과 창출을 위한 기술거래, 투자유치, 판로개척, 오픈이노베이션, 기술사업화 및 구매수출 상담 등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이 외에도 ▲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 시상식, ▲ 2025 농림식품 R&D 합동설명회, ▲ 농식품 테크 매칭데이, ▲ 농식품 R&D 성공전략세미나, ▲ 2025 농식품 R&D 미래전망 심포지엄, ▲ 농식품 기업 투자설명회, ▲ 농식품 기술상용화 우수성과 콘테스트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또한, 농업용 무인운반차, 농작업 커넥티드팜 서비스, 스마트 양돈 관리툴, 토마토 수경재배 플랫폼, 비문기반 동물등록 솔루션, 로봇과 한우이미지를 활용한 비대면 육류판매시스템 등 첨단과학기술과 결합한 농식품 분야 기술 성과들을 전시장에서 만나 볼 수 있다.

 

노수현 농기평 원장은 “2024 농식품 R&D 테크비즈위크는 농식품 연구성과에 대해 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시장진입·제품양산·해외수출 등 민간 주도 상용화를 지원하는 행사로, 이번 행사가 참가자로 하여금 새로운 비즈니스 성장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화수분이 되길 바란다”며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앞으로도 효율적인 연구개발 지원으로 농림식품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연구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