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송이버섯' 무더위 여파로 지각 생산!...이달말 본격 수확

특수 놓친 '송이버섯' 무더위로 지각 생산...그동안 9월 중순 지나서 70% 수확 돼
산림조합 송이버섯 평균 공판량...21년 58.6톤, 22년 49.5톤, 지난해 164.3톤 위탁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최근 무더위가 지속되는 날씨로 인해 생육량이 저조했던 송이버섯이 9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20일 밝혔다.

 

송이버섯은 인위적으로 재배가 불가능해 자연적으로 자라난 것만 채취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경상북도 울진군, 봉화군, 영덕군 등 산간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채취시기는 보통 8월 하순에서 10월 하순까지이며 낮 기온 24~25도, 밤 기온 10~14도로 일교차가 발생하는 9월 말에서 10월 초순 사이에 송이버섯 채취가 가장 활발하다.

 

실제로 최근 3년간 송이버섯 공판량을 비교한 결과 9월 중순 이후 생산량이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산림조합 송이버섯 공판량(9월 16일 이후 기준)은 (’21) 58.6톤(71.4%), (’22) 49.5톤(74.2%), (’23) 164.3톤(99.8%)이다.

 

 

또한 지난해에도 9월 중순까지 고온이 지속돼 송이버섯 생산량이 적었으나 중순 이후 송이버섯 생육환경이 유지되면서 생산량이 대폭 증가했다.

 

한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송이버섯의 공급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난 2001년부터 송이의 인공생산 연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시험림에 송이버섯 종자를 접종한 소나무 묘목을 심어 현재까지 42개의 송이버섯 인공재배에 성공한 바 있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송이버섯 채취 임가의 소득을 안정화하고 송이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송이산가꾸기’ 사업비의 20~40%를 지원하고 있다”라며, “향과 맛이 으뜸인 송이버섯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송이버섯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누리소통망 기자단 ‘가치해썹 7기’ 발대식 개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4월 9일(수)에 국민 눈높이로 해썹 및 스마트 해썹 등 식품 안전을 홍보할 2025년 누리소통망 기자단 ‘가치해썹 7기’의 발대식을 가졌다. 식품 안전에 관심이 많은 대학생·대학원생 10팀(총 29명)으로 구성된 이번 누리소통망 기자단 ‘가치해썹 7기’는 약 7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다채로운 시각으로 해썹과 스마트 해썹 등 식품안전과 관련된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를 직접 기획·​제작하여, 국민과 친밀하게 소통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발대식에서는 기관 및 해썹 등 주요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해썹 체험관 견학 ▲스마트센서 체험 ▲영상 콘텐츠 제작 및 홍보 교육 ▲식품안전 퀴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담았다. 해썹인증원의 누리소통망 기자단 활동은 식품 안전과 관련된 콘텐츠를 국민 눈높이에 맞게 제작 및 확산하기 위해 2019년부터 운영해 왔다. 이번 ‘가치해썹 7기’ 기자단이 제작한 콘텐츠는 4월부터 해썹인증원의 누리소통망(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한상배 해썹인증원장은 “이번 누리소통망 기자단 ‘가치해썹 7기’의 시선이 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