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디지털육종 '노지스마트팜' 콩 증산효과 확인!..."실용화 속도 필요"

- 스마트팜 '콩' 생산성은?...지중점적 26%, 땅속배수 31%, 관비시스템 11% 증산 효과 커
- 디지털육종·스마트농업, 노동강도·노동력 줄이고 농작업 효율성과 편의성은 크게 높여

【디지털 육종과 스마트팜 혁신기술 현장특집】

농촌진흥청 연구성과...‘콩’ 노지재배 스마트 농식품산업 현장을 찾아서!

 

 

각 산업별로 스마트화가 빨라지고 있다. 농업계도 녹색혁명에 이어 백색혁명 등 오랜시간을 거쳐 첨단농업을 추진하는 등 스마트팜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농촌 고령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까지 심해지면서 노지 밭농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본지 인쇄 지면신문 9월 27일자 참조

이를 해결할 대응책으로 밭작물 기계화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는 디지털 육종을 비롯한 각종 스마트한 농식품산업 혁신 기술들이 떠 오르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 혁신적인 기술개발들은 결과적으로 농촌지역의 복지증진으로도 이어진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본지는 농촌진흥청과 함께 ‘농식품산업 혁신기술’ 기획특집으로 디지털육종 및 스마트농업 현장의 한곳인 노지 콩 재배 스마트농업 현장을 찾아, 실용화 가능성을 짚어 봤다.<편집자>

 

농촌 고령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심해지면서 노지 밭농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할 대응책으로 밭작물 기계화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농업 기술이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경남 밀양)에 첨단 농업기술을 적용한 노지 스마트농업 콩 성능시험장(테스트베드)을 구축하고 지속해서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구축한 성능시험장에는 자동 물관리와 스마트트랩, 병해충방제와 관련된 개별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도 가동하고 있다. 올해는 콤바인에 부착할 수 있는 자율주행키트를 새로 추가해 기술 완성도를 높였다.


국립식량과학원 생산기술개발과에서 성능시험장을 운용한 결과, 관수, 관비, 드론 병해충방제, 잡초방제 등 4가지 개발 기술을 적용했을 때 노동시간이 평균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로 농작업과 재배관리를 자동화해 노동강도와 노동력은 줄이고, 농작업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앞으로 제초 로봇, 병해충 자동방제 등 더 많은 기술을 적용해 통합기술 효과를 확인할 계획이다.

 

- 스마트농업, 노동강도·노동력 줄이고 농작업의 효율성·편의성 높일 수 있어
- 디지털 육종을 포함한 노지 스마트농업 인식 높이고 미래 농업 방향·청사진 제시
- 스마트 농업기술 실용화 및 신속한 확산에 산학연 협력 속도 필요


농촌진흥청은 노지 스마트 농업기술의 실용화 및 신속한 확산을 위해 2021년부터 산업체, 대학과 개별기술에 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전국 9개 도 농업기술원에 성능시험장을 구축해 스마트 기술을 검증하고 있다.

 


지자체가 운영하는 성능시험장에서는 농가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고 향후 대규모 들녘 단위로 확산해 노지 스마트농업 성공 모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체·지자체와의 기술개발 지원 협력도 공고히 하고 있다.

 

 

지난해 정밀 물관리, 병해충 예찰, 무인기(드론) 방제 등 노지 스마트농업 관련 관수시스템, 무굴착 땅속배수 시공, 지하수위제어시스템, 스마트트랩, 드론스테이션, 통합관제시스템 등 6가지 특허기술을 개발해 민간 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개발 기술의 현장 적용 시험과 업무협약 체결도 LS엠트론, 경농, 공간정보, 의성군, 괴산군 등 5건에 이른다.

 


한편, 콩 성능시험장은 스마트농업에 대한 농업인들의 인식을 높이고 미래 농업의 방향과 청사진을 보여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농업인, 연구자, 산업체․교육기관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콩 성능시험장을 방문해 국내 노지 스마트농업 연구 수준과 발전 가능성을 확인했다.

 

경북 안동시에서 콩을 재배하는 김종길 농가는 “지난해 자동 관수(물대기) 시스템을 설치했더니 다른 재배지보다 수확량이 34%가량 높았다.

 

 

이러한 개별기술들을 통합 적용한 스마트농업이 도입되면 농업 생력화는 물론 효율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정병우 부장은 “스마트농업은 우리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고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라며,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스마트농업 기반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미래 농업 발전과 나아가 식량안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어 노지스마트팜 기술확산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어서 정병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장 인터뷰 <밀양=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