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팜스코 'CSY2200 클럽'...한돈농장 기술력 눈길

- 팜스코 S11지역 'CSY2200 클럽' 회의 성료...연간 모돈 출하체중 2,200kg 달성농장 그룹
- 'CSY2200 클럽' 드림농장(이상호 대표)과 에코팜(노창수 대표) 수상의 영광 차지
- 한돈 CSY2200은 MSY25두 달성과 규격돈 출하, 지육율 78% 수준으로 높게 유지해야 달성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가 2022년 성적 우수농장을 시상하고 성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CSY2200 클럽 행사를 2023년 4월 26일 경기도 고양시 소노캄 호텔에서 시작하였다.
㈜팜스코의 CSY2200 클럽은 연간 모돈당 출하체중 2,200kg이상을 달성한 농장의 그룹으로 2022년에는 총 31개 농장이 선정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농업회사법인 드림농장(이상호 대표)과 에코팜(노창수 대표)가 수상의 영광을 차지하였다.
CSY2200은 MSY25두 이상 수준을 달성하면서 규격돈을 출하하고 지육율도 78%수준으로 높게 유지해야 달성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수준의 성적이다.

행사를 시작하며 한돈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발표한 조지훈 지역부장은 2023년 연평균돈가를 5,100원/kg 수준으로 전망하며, 현재 평균적인 한돈농가의 성적으로는 손익분기점을 넘기도 쉽지 않음을 진단하였다.
성적이 개선됨에 따라 손익분기 돈가가 낮아지게 되는데, CSY 2,248을 기록한 드림농장은 한돈평균 대비 BEP 4,366원/kg, CSY 2,424을 기록한 에코팜은 BEP 4,178원/kg으로 손익분기돈가가 개선 되었다. 불황에도 높은 성적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이어 여기에 추가로 성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신대환 지역부장이 제안하였다. 바로 팜스코가 새로이 제안하는 번식 성적 지표인 WWSY(Weaned Weight per Sow per Year, 연간모돈당 이유체중)개선이다.
기존의 번식성적을 대표하는 지표가 PSY(연간모돈당 이유두수)였다면, 이유체중까지 함께 고려하여 번식성적을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유체중이 높아지면, 이유 후 육성율이 개선될 뿐 아니라 비육돈 사료요구율도 개선된다. 따라서 이유두수 뿐 아니라 이유체중까지 함께 높일 수 있는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대환 부장은 이를 위한 팜스코의 다산선모돈 프로그램 윈맥스30플러스 모돈프로그램과 대용유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새로운 프로그램과 함께 WWSY를 개선할 경우, 양돈 선진국에도 뒤지지 않는 더욱 높은 성적과 수익 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영광의 수상자인 에코팜 노창수 대표는 우수한 성적의 비결로 철저한 기록관리와 분석을 꼽았다.기록 관리를 통해 목표를 세우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성적의 개선이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팜스코가 항상 소통하면서 적극적으로 도움을 준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빠른 출하일령이 유지되는 것이 농장의 생산 사이클 유지를 위해 중요한데, 팜스코 사료는 안정적인 품질로 이 것이 뒷받침 되어 도움이 되었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행사를 마무리한 진안수 ㈜팜스코 S11사업부장은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도 우수한 성적을 거둔 두 농장에 감사를 표하며, 팜스코가 제안하는 성적지표인 CSY와 WWSY를 높여 한돈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팜스코가 함께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팜스코의 CSY2200 클럽 시상행사는 지역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며, 우수 농장들의 사례를 공유해 갈 예정이다. 한돈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팜스코의 노력이 어떤 결과를 거둘 지 관심이 주목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