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더미식 메밀쌀밥 등 '메밀식품’ 열풍

- 계묘년 새해 맞아 건강과 맛 두 마리 토끼 잡는 가정간편식 제품들 잇따라 선보여
- 혈관청소부인 메밀 활용한 즉석밥, 숙취해소 음료, 막국수 등 제품들까지 속속 등장
- 더미식 메밀쌀밥, 봉밀가 평양식 메밀물국수, 대한항공 메밀비빔국수 기내식 인기

계묘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건강’에 초점을 맞춘 식음료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맛과 함께 건강까지 챙기는 깐깐한 소비자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식품업계에서는 메밀 관련 제품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혈관청소부’로 잘 알려진 ‘메밀’은 루틴, 퀘세틴 등 플라보노이드 물질과 카테킨. 트리터페노이드와 같은 페놀화합류 영양소가 들어있어 피의 흐름을 좋게 하는 혈관 건강은 물론 항산화, 항염증, 비만예방 등 효과까지 있다. 100g 당 열량이 114kcal로 낮은 대표적인 다이어트 식품이기도 하다. 이처럼 다양한 장점을 기반으로 메밀은 지역 특산물이나 계절식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일년 내내 즐기는 식품으로 자리매김하는 추세다.

하림은 지난해 국산 메밀을 넣은 ‘The미식(더미식) 메밀쌀밥’을 출시해 건강한 가정간편식 시장을 열어가고 있다. 더미식 메밀쌀밥은 메밀과 쌀, 물로만 지어 밥 본연의 풍미와 밥 고유의 빛깔을 극대화하면서도 집에서 갓 지은 밥과 같은 중성(pH7)이다.

온수로 천천히 뜸들여 밥알 한 알 한 알 살아있는 것도 강점이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직접 6개월간 메밀쌀밥을 먹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상 수준으로 낮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제품을 추천해 출시한 일화도 유명하다.

강원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10월 ‘쓴메밀’의 유효 성분으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개발해 특허출원했다. 성인남녀 실험군을 대상으로 음주 전 쓴메밀 추출물을 섭취하도록 한 결과 절반 이상이 숙취 개선 효능을 경험했다. 기술원측은 앞으로 쓴메밀 숙취 해소 음료를 출시할 계획이다.

 


동서식품의 ‘메밀차’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 메밀에 비해 루틴이 더 많이 들어간 타타리 메밀을 써서 보다 진한 향과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신세계푸드는 미슐랭 가이드 서울에 선정된 봉밀가와 협업해 ‘올반X봉밀가 평양식 메밀국수’ 밀키트 2종을 선보여 호평을 받고 있다. 대한항공은 고객들의 웰빙 선호에 맞춰 새해부터 사전 주문 기내식으로 ‘메밀 비빔국수’를 제공에 나섰다.

식품업계에서는 “건강을 챙기는 소비자들을 위해 메밀, 귀리 등 잡곡류를 활용한 식음료를 잇따라 개발해 출시하고 있는 추세”라며 “신선하고 건강한 재료에 맛까지 사로잡은 제품들이 올해 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