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낙농인들 서울우유에서 "원유대 인상하라" 촉구집회

- 낙농가 대표 강보형 축산계장 “천정부지로 뛰는 사료값 때문에 낙농가 심각한 압박"


지난 8월 4일 서울·경기권 낙농가 지역 대표 43명은 모임을 갖고 유가공업체들을 상대로한 가격협상 촉구를 위한 시위가 8월 8일 매일유업을 시작으로 유가공협회,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궐기대회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목장원유를 납유 중인 1,500명의 낙농인들은 10일에는 서울우유 본사에서 원유대 인상 촉구를 위한 집회를 가졌다.

서울우유로 목장원유를 납유 중인 낙농인 1,500명은 최근 사료값 폭등, 송아지 값 하락, 기름값 상승에 따른 목장 운영의 어려움을 서울우유 측에 전달하고 목장 원유기본가격 인상을 하루빨리 결정해 줄 것 강력하게 촉구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집회에 참석한 낙농가 대표 강보형 축산계장은 “지난 해부터 천정부지로 뛰고 있는 사료값 때문에 낙농가는 생업을 포기해야 할 정도로 심한 경영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이번 원유기본 가격 인상은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될 낙농가의 생사를 가르는 시급한 사안이다” 고 강조하였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A목장 농가는 “최근 생산비 절감을 위하여 시중 은행으로부터 10억을 빌려 목장규모를 늘리고자 우사도 새로 짓고 쿼터도 추가 구입하였는데 최근 6개월 간 사료값 폭등으로 유대 수익이 작년 초 대비 40% 나 감소하여 은행 이자 갚는데도 버겁다.” 며 암울한 현실을 토로하였다.

 


- 목장원유를 납유 중인 1,500명의 낙농인들 서울우유 본사에서 원유대 인상 촉구집회 이어가
- 시위참가 농민 "송아지를 소장수에게 그냥 가져가라고 해도 가져가지 않는다"
- "몇 년 전만해도 송아지 한 마리가 20만원 했었는데 지금 치킨가격밖에 안돼"


또 다른 참석자인 B목장 농가도 “축산시설 적법화와 환경규제 때문에 그동안원유가격 연동제로 벌어들인 수익으로 최근 적법화를 완료하였고 퇴비장도 새로 만들고 정화처리 시설도 갖추었다” 면서 “정부가 요구하는 것을 다 했는데 최근 축분 냄새 민원에 우유 내는 생산비 증가까지 더해져  현재는 폐업을 고려할 정도로 경영이 많이 힘들다. 그리고 요즘은 단적으로 송아지를 소장수에게 그냥 가져가라고 해도 가져가지 않는다. 사료값이 많이 올라 수요가 없기 때문이다. 몇 년 전만해도 송아지 한 마리가 20만원 했었는데 지금은 치킨 한마리 가격인 만원밖에 안되는 실정이다. 이번에 유대인상이 안되면 다 망한다”고 호소했다.

 

집회에 참석한 후계자를 보유한 C목장 낙농가의 경우도 “생산성 향상을 위해 수년 전부터 젖소 먹이용 원료를 구입해 직접 자가배합을 해오고 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착유하는 젖소 한 마리당 드는 비용이 15,000원 초반 대였는데 지금은 자가배합 원료인 조사료, 첨가제 등 비용이 어제 오늘 다르게 급등해서 어느덧 두당 비용이 19,000원 후반 대를 훌쩍 찍는다. 유대를 타면 딸아이를 키우는 아들 부부에게 월급 식으로 일정금액을 줘야 하는데  최근 유대통장에 남는 게 별로 없어 아들은 다른 일거리를 알아보려 목장 일을 그만 두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직장 잘 다니는 아들을 목장으로 부르지 않았을 것이다. 가슴이 터지는 일이다”며 신세를 한탄하기도 하였다.

 


한편, 지난 8월 4일 발표한 한국낙농육우협회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 낙농가 호당 평균 부채는 5억원을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20년 배합사료 kg당 가격은 500원~648원 사이였으나 2022년 5월 현재는 667원~852원 사이로 31.5%~33.4% 상승하였고, 조사료는 동기간 kg당 348.7원에서 455.2원으로 평균 30.6%나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8월 8일부터 매일유업을 시작으로 원유대 인상을 위한 낙농가들의 아스팔트 뙤약볕 투쟁이 언제 끝날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추가출자... 운용사 5월 27일까지 접수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이하 ‘농식품모태펀드’) 투자관리전문기관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이하 ‘농금원’)은 민간운용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월), 농금원에서 ‘2025년 추가 출자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농식품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총 22개 운용사가 참여하였다. 우선 출자사업분야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 출자분야는 △농식품일반(300억원), △세컨더리(300억원) 및 △민간제안(100억원) 등 3개 분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출자사업에는 기존 정해진 투자분야에 운용사가 지원하는 대신 운용사가 자신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방식인 △민간제안펀드가 신설되었다. 이밖에도 농식품 전·후방 산업에 투자하는 △농식품일반펀드,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컨더리펀드를 통해 농식품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유동성을 확대한다. 운용사 선정을 위한 서류접수는 5월 27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1차 심사(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와 2차 심사(운용사 제안서 PT)를 거쳐 6월 중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금원 박춘성 본부장은 “새로이 도입한 민간제안펀드 등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적극 활용하여 농식품산업의 혁신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