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강서도매시장 전국매출 2位 시장으로 우뚝!

강서농산물도매시장 개장 10주년...서울 수도권 서남권 농산물 공급기지 역할 수행

거래물량 569,591톤, 거래금액 9,520억원으로 가락시장 이어 전국 매출 2위 기록

경매제・시장도매인제 병행으로 생산자 출하선택권 확대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이하 강서시장)이 개장 10년을 맞이했다. 강서구 외발산동(강서구 발산로 40)에 위치한 강서시장은 2004년 2월 25일 경매시장을 개장하고, 그 해 6월 14일 시장도매인제 시장을 개장하였다. 전체 시장면적은 213,032㎡(64,445평)이며, 주차장 2,655면을 확보하고 있다. 유통종사자는 경매제시장 ▶도매시장법인 3개사 ▶중도매인 332명 ▶매매참가인 7명 ▶경매사 51명 ▶하역원 150명 / 시장도매인제시장 ▶시장도매인 52개사 ▶하역원 132명 / 기타 ▶용역업체․임대시설 100여 업체 등 약 2,000명이 상주하고 있다. 강서시장은 개장 이래 서울 서남권 시민들의 먹거리 공급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강서시장의 거래물량은569,591톤, 거래금액은 9,52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가락시장에 이어 전국공영도매시장 매출 2위를 기록하는 실적이며, 서울시민 10%의 농산물 먹거리를 책임지는 물량이다. 하루 출입차량이 23천대, 출입인원이 6만명을 넘어서 서울 서남권 지역 농산물 유통의 중심 시장이 되었다. 또한 강서시장은 경매제시장, 시장도매인제 시장을 병행하고 있어 생산자․출하자에게 출하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전국 공영도매시장 최초로 개장(´04.6.14)한 시장도매인제 시장은 2013년 거래물량 267,585톤, 거래금액 5,354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강서시장 거래물량은 목표물량(설계물량) 대비 75%에 불과하다.

강서시장 거래물량은 1일 1,855톤으로 설계물량 2,740톤의 75%에 불과한 실정이다.이는 영등포시장 후적지 정리 미흡, 가락시장 쏠림 현상에 따른 구매자 인식과 강서시장 홍보 부족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현재 일평균 물량은 개장 이듬해인 2005년 54%, 2009년 67%, 2013년 75%로 꾸준한 증가세에 있지만 아직도 목표물량 대비 25%나 부족하다. 목표물량 100% 달성을 위해 공사와 유통인들의 노력이 절실하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들 발끈...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강력 반대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은 7월 16일(수) 14시부터 서울 용산구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통상 당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 카드로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농촌 현장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의 5위 수입국으로 한-미 FTA 발효 후 사실상 농축산물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였으며, 그 결과 지난 15년간 대미 수입은 56.6%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세·비관세 장벽의 추가 해소 시 사실상 완전 개방에 가까워 국내 농업생산기반의 붕괴마저 우려된다. 특히 동식물 위생·검역 및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등 비관세 장벽 규제 완화는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사안으로 단순히 농업인만의 문제라 볼 수 없다. 이에 한농연중앙연합회 및 시·도연합회 임직원 40여명은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5천만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거리로 나서게 되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 개최 후 220만 농업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