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차한잔...임경종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장

“가축질병 신속한 전문방역지원에 매진”

<차한잔...임경종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장>

가축질병 신속한 전문방역지원에 매진

전문역량 향상을 통한 가축질병 조기검색 및 신속한 방역지원에 총력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축산관련 기자간담회 개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임경종)는 지난 523일 취임 2주년을 맞이하여 주요 성과 및 중점 추진계획 등에 대한 언론매체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축산관련 전문지 기자들과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임경종 본부장은 주요성과로 방역사 및 위생직 교육 개선 등을 통한 전문역량 향상으로 선제적 가축방역 실현 방역현장 스마트패드 공급을 통한 실시간 농장정보 수집 등 현장 방역관리 시스템 개선 가축질병 및 사양관리 등 전화예찰 전문상담원 운영을 통한 대농가 서비스 강화 복지포인트 도입 및 전직제도 등 직원의 복지 및 근무여건 개선이다.

또, 임 본부장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책임강화를 위해 소외계층 위문, 깨끗한 농촌 만들기 캠페인 등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으며, 향후 1년간 중점 추진 사항으로는 AIFMD 방역 후속대책에 따른 신규업무의 수임 및 정부정책의 조속한 정착 건전한 노사문화 정착 조직개편을 통한 체질 개선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활동을 강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경종 본부장는 맺음말에서 임직원 모두가 역량을 집중하여 선제적인 방역위생검역사업을 차질없이 지원하여 우리 축산업이 밝은 미래를 향해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축산농가와 항상 함께하는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가 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