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1∼3월‘닭고기’수요 큰 변화 없을 듯!

2월 동계올림픽으로 닭고기 수요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2~3월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지만, 닭고기 수요증가는 크지 않아 2∼3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 1,500~1,700원/kg, 1,600~1,800원/kg에 형성될 전망이다.

그동안 12월 닭고기 공급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였으나, 닭고기 수요가 증가하여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12월(1∼24일) 육계 산지가격은 생체 kg당 1,682원(농협발표가격 기준)으로 전년 동월(1,466원)에 비해 14.8%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14년 1월 닭고기 공급량이 감소하고, 닭고기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육계 생체 kg당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1,400~1,600원으로 전망된다.

한편,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가 증가하고 생산성도 회복되어, 병아리 생산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2월 병아리 가격은 전월보다는 하락하였다. 그러나 전년에 비해서는 90.3% 높은 수준을 보였다.

농업관측센터는 또 중기선행관측에서 2013년 2∼3월 도계 마릿수는 각각 전년보다 증가한 5,004만 마리, 6,004만 마리로 전망하고 2∼3월에는 수산물 대체효과가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월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에 따른 닭고기 수요 증가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2∼3월 도계 마릿수 증가로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하여, 2월은 12∼24% 하락한 1,500~1,700원/kg, 3월은 15∼25% 하락한 1,600~1,800원/kg으로 전망된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 기념 할인행사 눈길 끌어
한돈 전문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은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을 맞아, 5월 10일부터 23일까지 ‘11주년 감사 大축제’를 슬로건으로 한 대규모 할인행사와 고객사은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도드람테마파크는 2014년 6월 문을 연 이후 하나로마트, 정육식당, 약 370평 규모의 대형 키즈랜드를 함께 운영하며 도드람 브랜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6차 산업의 대표 성공 사례로 꼽히며, 오프라인에서 도드람의 가치를 전하는 핵심 채널로 역할을 해왔다. 이번 행사는 지역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에 보답하고, 고물가 시대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테마파크 내 주요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혜택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먼저 하나로마트에서는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생필품 등 생활밀착형 상품을 중심으로 물가안정 특가 프로모션을 운영한다. 도드람의 대표 제품인 도드람한돈을 행사 기간 동안 파격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며, 한돈 가공식품은 최대 50%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5월 1일 새롭게 리뉴얼한 정육식당에서는 도드람한돈 오겹살과 목심을 한근에 9,900원의 실속 있는 가격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