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한돈자조금, 명예홍보대사

토니 오 셰프와 함께 고교생 재능기부 레스토랑 운영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병규)는 11월 22일 부천 송내고등학교(교장 송일영)에서 한돈 명예홍보대사 토니 오(Tony Oh) 셰프와 함께 고교생 재능기부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그 수익금 전액을 불우한 이웃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고교생 재능기부 레스토랑은 건강한 국산 돼지고기를 책임지는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와 학생들의 요리를 책임지고 꿈을 응원하는 멘토, 토니 오 셰프 그리고 요리를 통해 각자의 꿈과 희망을 키워가는 송내고등학교 학생들이 함께 준비하는 특별한 이벤트이다.

송내고등학교 학생들은 지난 8월 말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방과 후 요리수업을 통해서 갈고 닦은 요리 실력을 통해 한돈 안심 파스타, 한돈 앞다리살 스테이크 등의 이색적인 코스요리를 판매할 예정이다. 코스요리는 15,000원 이상의 자율적인 가격으로 판매되며, 수익금의 전부는 적십자에 기부해 불우한 이웃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적인 식재료에 서양의 조리법을 접목시켜 새로운 퓨전 레시피를 개발하는 국내 1호 로컬 푸드 셰프인 토니 오는 “방과 후 수업에서 요리를 가르치는 조그만 재능 나눔이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고, 수개월의 노력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재능기부에 동참하게 되는 뜻 깊은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홍보마케팅 오민정 팀장은 “고교생 재능기부 레스토랑은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응원하는 좋은 취지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동시에 국산 돼지고기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계기”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람들에게 맛 좋고 영양 많은 국산 돼지고기 한돈을 즐길 수 있도록 좋은 취지의 행사에는 언제든 든든한 후원자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