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수량 많고 단맛 높은 풋땅콩 ‘아미’ 개발

2014년부터 땅콩 특산단지를 중심으로 확대 보급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수량이 많고 단맛이 높은 풋땅콩 새품종 ‘아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땅콩은 볶음용 종실땅콩과 풋땅콩으로 구분되는데, 볶음용 땅콩은 고소한 맛이 많은 것이 풋땅콩은 조기에 수량이 많고 삶았을 때 단맛이 높은 것이 좋다.

이번에 개발한 ‘아미’ 땅콩은 수확을 빨리 할 수 있는 조생종으로 수량은 10a당 1,010kg 다수성 품종이며, 100알 무게가 84g인 대립종이다. 또한 삶았을 때 씹힘성이 좋고 단맛을 나타내는 자당 함량(24.9 mg/g)이 높아 풋땅콩으로 적합하다.‘아미’ 땅콩은 우리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올레인산(Oleic acid) 함량이 60.5 %나 된다. 또한 부산물인 땅콩껍질(꼬투리)에는 항산화 성분인 루테올린(Luteolin)이 g당 3.9mg나 들어있어 기능성 식품과 식의약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아미’ 땅콩은 현재 농가 보급을 위해 대규모 증식 중이며, 2014년부터 땅콩 특산단지를 중심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백인열 과장은 “앞으로 우리 재배 환경에 알맞으면서 기능성 성분이 우수한 땅콩을 개발해 농가에 빠르게 보급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다.”라며, “현재 심혈관 질환개선에 효과가 있는 고 올레인산(80 % 이상) 땅콩 등 건강기능성이 높은 품종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라고 전했다.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