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전국 131개소 ‘산림조합’ 전국동시선거 분석해 보니?

산림조합, 무투표 38개 조합! 現 조합장 74명 선방! 신임조합장 57명 탄생!

전국 131개소 산림조합전국동시선거 분석해 보니?

무투표 38개 조합! 조합장 74명 선방! 신임조합장 57명 탄생!

 

산림조합 전국 동시조합장 선거에서 선거조합 수는 131조합으로 무투표 38개 조합, 경합 93개 조합이다.

총 당선인은 131명으로 신임 조합장이 57명 새롭게 탄생했다.

현 조합장 당선은 74(무투표 35, 경합 39)이며 신임조합장 당선은 57(무투표 3, 경합 54)이다. 각 지역별 당선자이다.표지역은 무투표 당선지역이다.


서울, 경기, 인천(19)

서울시산림조합 김덕현(63·현 조합장), 가평군산림조합 장기명(66·전 공무원), 고양시산림조합 김보연(66·전 지방의원), 김포시산림조합 양순규(59·현 조합장),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강석오(59·전 지방의원), 시흥지역산림조합 김창열(55·현 조합장), 안성시산림조합 김현치(71·전 조합이사), 양주지역산림조합 윤희구(67·현 조합장), 양평군산림조합 홍순용(53·전 산림조합 전무), 여주시산림조합 이후정(48·전 산림조합 지도상무), 용인시산림조합 이대영(63·전 용인시청 과장), 이천시산림조합석균남(64·현 산림조합장), 파주시산림조합이성렬(60·현 산림조합장), 평택시산림조합 장덕교(60·현 산림조합장), 포천시산림조합 남궁종(60·현 산림조합장),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최만식(57·현 산림조합장), 강화군산림조합 나장기(61·현 평통자문위원), 옹진부천산림조합임승균(73·현 조합장), 인천산림조합최수룡(59·현 조합장)

 

강원(13)

강릉시산림조합 이강록(65·현 산림조합장), 고성군산림조합 김영석(57·현 산림조합장),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김동섭(61·현 산림조합장), 양구군산림조합박성용(61·현 산림조합장), 양양속초산림조합 정용환(65·전 군청과장), 영월군산림조합 김준기(57·전 군청과장), 인제군산림조합 이종욱(64·전 조합직원), 원주시산림조합 조두형(60·전 시청국장), 정선군산림조합 전학규(61·전 조합감사), 철원군산림조합 이양수(51·전 지방의원), 평창군산림조합이봉균(62·현 조합장), 화천군산림조합 신준현(60·전 조합이사), 횡성군산림조합 양재관(52·전 조합전무)

 

충북(9)

단양군산림조합 최인규(59·전 조합전무), 보은군산림조합 박호남(59·현 조합장), 영동군산림조합 한창수(59·전 군청과장), 음성군산림조합 최상욱(62·현 조합장), 옥천군산림조합오갑식(66·현 조합장), 제천산림조합 최순창(64·현 조합장), 진천군산림조합 이원희(60·전 군청과장), 청주산림조합 조명연(58·전 조합상무), 충주산림조합김재수(64·현 조합장)

 

대전, 세종, 충남(13)

대전광역시산림조합홍주의(59·현 조합장), 공주시산림조합 김생연(63·현 조합장), 금산군산림조합길호덕(57·현 조합장), 논산계룡산림조합박충규(65·현 조합장), 당진시산림조합김기만(59·전 시청과장), 보령시산림조합 윤문희(60·현 조합장), 부여군산림조합 정우성(66·전 군청직원), 서산시산림조합 한우섭(59·전 신용상무), 서천군산림조합 고종진(58·전 조합장), 세종특별자치시산림조합박명종(66·현 조합장), 천안시산림조합 오종석(58·현 조합장), 청양군산림조합 명노영(67·임업인), 홍성군산림조합 윤주선(53·전 대의원)

 

전북(12)

고창군산림조합김영건(47·현 조합장), 김제산림조합 함길권(51·전 조합과장), 군산산림조합고석빈(63·현 조합장), 무주군산림조합김대웅(63·현 조합장), 부안군산림조합 오세준(67·전 지방의원), 순창군산림조합 김규청(66·현 조합장), 익산산림조합 김관기(68·전 지방의원), 임실군산림조합 정인준(57·전 지방의원), 완주군산림조합 임필환(54·전 조합상무), 장수군산림조합 김종식(54·전 조합과장), 정읍산림조합김민영(49·현 조합장), 진안군산림조합 전해석(62·전 조합이사)

 

광주, 전남(20)

광주광역시산림조합노한섭(58·현 조합장), 강진군산림조합 남윤택(57·전 조합상무), 고흥군산림조합 류명현(61·전 면장), 광양시산림조합 강대유(71·현 조합장), 곡성군산림조합 김종희(56·현 조합장), 구례군산림조합오영호(63·현 조합장), 나주시산림조합강희식(57·현 조합장), 무안군산림조합정재남(55·현 조합장), 보성군산림조합 이경로(64·전 부읍장), 순천시산림조합 조정록(62·전 공무원), 신안군산림조합 박일용(59·전 시청직원), 여수시산림조합 허채열(70·현 조합장), 영광군산림조합정용재(60·현 조합장), 영암군산림조합 김재성(64·현 조합장), 장성군산림조합 김영일(61·전 조합장), 장흥군산림조합 이장수(64·전 산림계장), 진도군산림조합 허용범(46·전 조합과장), 함평군산림조합이승동(63·현 조합장), 해남군산림조합 박삼영(63·현 조합장), 화순군산림조합 조영길(59·전 지방의원)

 

대구, 경북(22)

대구달성산림조합이석원(69·현 조합장), 경주시산림조합 신용덕(60·전 시청과장), 경산시산림조합 현종국(55·전 조합과장), 고령군산림조합 곽재경(59·전 조합과장), 구미시산림조합 우진석(55·현 조합장), 군위군산림조합최규종(65·현 조합장), 김천시산림조합 백종록(66·현 조합장), 문경시산림조합 최종성(59·전 시청과장), 봉화군산림조합우병문(61·현 조합장), 상주시산림조합 송재엽(58·전 시청과장), 성주군산림조합 이건상(67·전 군청직원), 안동시산림조합 천명석(57·전 조합과장), 영덕군산림조합 박기원(65·현 조합장), 영양군산림조합 김성웅(64·전 이사), 영천시산림조합정기준(72·현 조합장), 영주시산림조합 우성호(60·전 지방의원), 예천군산림조합 천해용(67·현 조합장), 의성군산림조합 이건호(58·전 대의원), 울릉군산림조합 정형원(67·전 조합장), 청도군산림조합 박순열(54·전 조합장), 청송군산림조합 신광희(60·현 조합장), 칠곡군산림조합 이준식(69·현 조합장)

 

부산, 울산, 경남(18)

부산광역시산림조합 황태용(68·현 조합장), 울산광역시산림조합 전주호(64·현 조합장), 고성군산림조합구대진(61·현 조합장), 거제시산림조합 이휘학(63·현 조합장), 거창군산림조합변상기(70·현 조합장), 김해시산림조합 류해율(59·현 조합장), 남해군산림조합 하의원(65·현 조합장), 사천시산림조합 이상규(56·현 조합장), 산청군산림조합김학열(64·현 조합장), 밀양시산림조합 이만우(59·현 조합장), 의령군산림조합 조충규(65·현 조합장), 진주시산림조합 박순철(50·전 조합과장), 창녕군산림조합 하영범(52·현 조합장), 창원시산림조합 유광종(60·현 조합장), 통영산림조합허일용(57·현 조합장), 하동군산림조합 이종수(68·현 조합장), 함안군산림조합이동명(63·현 조합장), 함양군산림조합 정욱상(65·현 조합장), 합천군산림조합 강병문(65·현 조합장)

 

제주(2)

제주시산림조합 김하룡(53·전 조합과장), 서귀포시산림조합 김용범(56·전 대의원) 조합장 등이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방역본부, ‘AI챔피언 1호 배출’ 공공부문 AI 선도를 위한 기반 마련!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김태환)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AI 활용역량 인증 평가에서 ‘위생방역본부 소속 AI챔피언 1호’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AI챔피언’은 행정안전부가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전문가 2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도로, AI를 활용해 정책 및 행정 서비스를 설계·실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인재를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시범운영된 AI챔피언 역량 인증자는 전국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중 단 195명이며, 이중 농·축산업 분야는 4명이다. 위생방역본부는 현재 가축방역, 축산물위생검사, 민원·행정처리 고도화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사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AI챔피언 1호 배출은 위생방역본부의 AI 전문인력 양성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위생방역본부 김태환 본부장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방역·예찰·검역 등 국가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AI 기술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데이터 기반, 실효성 있는 AI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직원 교육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