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글로벌 식품시장의 新 중심으로 도약’

농식품 창조경제의 메카,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부가 농식품 수출단지로 육성

글로벌 식품시장의 중심으로 도약

농식품 창조경제의 메카,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부가 농식품 수출단지로 육성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1124일 식품기업, 연구소, 지자체, 지역주민 등 5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식품시장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식품클러스터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이동필 장관은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상황 등에 대한 경과보고를 통해 한중FTA 등 개방화 시대에 대응하여 우리 농산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과 해외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 개발을 통해 우리 농업을 수출경쟁력을 갖춘 미래성장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게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창의력과 열정을 가진 우리 젊은 농업인과 식품분야 전문인력, 기술·자본·해외 네트워크를 가진 식품기업들이 힘을 모아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해 우리 농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며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원료 농산물을 바탕으로 IT, BT 등 첨단과학기술과의 융복합, 해외 시장정보와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우리 식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해외 수출시장 개척을 선도하는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공식에는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입주하게 될 국내외 식품기업과 우리의 우수 농산물을 공급하게 될 국내 생산자 단체 등과의 협력강화를 위한 상생협약식이 진행되었다.

이번 상생협약식에는 쌀 가공식품을 생산·수출하는 미국의 햄튼 그레인즈와 한국RPC협회, 과일로 다양한 푸딩을 생산하는 중국 차오마마와 한국과수농협연합회, 계육전문업체에서 종합식품기업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삼계탕 수출을 준비하고 있는 하림과 전북인삼농협이 참여했다.

이들 식품기업들은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생산, 판매 및 해외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국산 농산물의 구매를 늘리기로 하였고 생산자 단체들은 이들 식품기업들에게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으로 협약을 체결하였다.


기공식을 기념하기 위해 농식품부 장관, 전라북도 지사, 지역구 의원 등 주요내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곡물 및 채소 등 17종의 국내 우수 종자를 넣어 제작한 희망캡슐을 가지고 발파 세리머니도 진행되었다.

희망캡슐에는 우리나라 전국 주산지에서 생산되는 벼, 보리, 콩 등 주요 종자들을 담고 있으며 김제 씨드밸리, 새만금 등과 식품개발·가공이 이루어지는 국가식품클러스터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우리 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식품의 수출을 확대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특히 보람찬 벼는 수입 밀을 국산 쌀로 대체하기 위해 2009년 개발되었으며, 빵과자 제품 개발에 적합해 수출용 햇반(씨제이), 영광 모싯잎떡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종자에 비해 생산비용이 저렴해서 수출 확대에 유리한 품종이다.

농식품부는 또한 1128일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분양공고를 실시할 예정이며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입주할 해외 기업들을 위한 외국인투자지역(FIZ) 지정도 산업부, 전라북도와 협력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1단계 산업단지 분양면적은 전체 분양대상 196필지, 1,399중에 39필지, 340이며 나머지는 순차적으로 분양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산업단지 분양은 1128을 시작, 12, 입주신청 및 심사, 20151월에는 분양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다.관련기사 10면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