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농지연금’ 농민들에게 알토란!

농지연금사업, 계약유지율 98% 상승하고 종신형 가입 늘어나

2011년 농지연금사업이 시행된 지 4년째 되는 현재 계약 유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김우남 의원실(새정치민주연합, 제주시을)이 농어촌공사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의하면, 201129.9%에 달하던 해약율은 201238.5%까지 상승했으나, 201321.8%로 하락한 이래 올해는 9월까지 해약율이 2.1%로 계약유지율이 97.9%에 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4년 간 누적 계약유지 비율도 73.3%까지 상승했다. 998건에 달하는 해약 건 수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사유로는 채무부담 과다로 303건이었으며, 농지매매 217, 자녀반대 211, 수급자 사망 129, 증여 54, 기타 84건이었다.

농지연금 평균 월 지급금은 85903원으로, 현재 경기 지역 가입자가 월 평균 1596,525원을 수령해 전국에서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남 가입자는 월 평균 378,906원으로 최저액을 기록했다.

계약을 유지한 2,742명 중 월 수령액이 300만원이 넘는 가입자도 49명이나 됐으며, 이중 38건이 경기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월 수령액은 10년 기간형으로 3081,230원을 수령하는 80세의 경기 지역 가입자로 드러났으며, 최소액 수령자는 5년 기간형을 선택한 전남의 73세 가입자로 월 9,310원을 수령하고 있다.

금액대별 월 지급금 수령은 10만원~50만원 구간에 31.2%의 가입자가 몰려있어 농지연금으로 충분한 노후를 보장받기에는 다소 모자란 수준으로 나타났다. 뒤 이어 50~100만원 구간이 22.5%, 100~200만원 구간이 19.8%, 200~300만원 구간이 10.9%였으며, 10만원 미만 수령자도 516명으로 14.3%를 차지했다. 한편 종신형과 5년형, 10년형, 15년형의 기간형의 2가지 가입방식 중 종신형 가입 비율이 높아져 농지연금을 장기적인 노후보장 수단으로 여기는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과 201326%였던 종신형 가입자 비율은 올해 상반기에는 47%까지 높아졌으며, 15년의 장기 기간형을 선택한 가입자 비율도 20118%에서 20129%, 20138%를 거쳐, 올해 상반기에는 27%까지 상승했다.

김우남 의원은 농지연금 해약율이 큰 폭으로 내려간 것과 종신형과 장기 기간형 가입자가 늘어난 것은 농지연금에 대한 농민의 인식이 깊어진 것을 반영하는 증거라고 주장하고 하지만 아직도 농지연금 산정이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지가 기준으로 주택연금과의 형평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여 농민들의 복지향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사진과 영상으로 보여주는 나의 한농대 이야기”...11월7일까지 공모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이주명)는 재학생, 졸업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사진과 영상으로 보여주는 나의 한농대 이야기’라는 주제로 ‘2025년 한국농수산대학교 사진·숏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모전은 2023년 시작하였으며, 한농대 재학생, 졸업생, 교직원이 직접 촬영한 사진·영상 콘텐츠를 통해 한농대 캠퍼스의 생생한 일상과 교육 현장, 그리고 한농대만의 가치와 매력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한농대 재학생, 졸업생, 교직원은 누구나, 한농대 캠퍼스와 실습장, 전공 수업, 동아리 활동, 대학 축제 등 한농대 캠퍼스의 다양한 모습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사진이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사진 부문뿐만 아니라 MZ세대의 콘텐츠 트렌드를 반영한 ‘숏폼 영상 부문’을 신설해 더욱 폭넓은 참여의 장을 마련했다. 공모기간은 10월 17일(금)부터 11월 7일(금)까지 22일간이며, 출품한 작품들에 대해서는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우수 작품을 선정하게 되며, 11월 중 총장상과 부상을 시상할 예정이다. 수상작은 오는 12월 한농대 본관과 학생회관 등에 전시하고, 한농대 누리집과 공식 SNS를 통해 외부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