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공공비축 米’ 40만톤 매입 추진

40kg당 5만2천원씩 산물벼 8만톤, 포대벼 29만톤 12월까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2014년산 공공비축용 쌀 37만톤(벼 40kg 기준, 1천 285만 포대)을 농가로부터 9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입한다고 밝혔다. 이 중 농가 편의를 위해 수확 후 바로 RPC 건조·저장시설에 보관하는 산물벼는 8만톤을 매입하고, 수확후 건조하여 40kg 단위로 포장하는 포대벼는 29만톤을 매입할 계획이다.

공공비축 쌀 매입 가격은 수확기(10~12월) 산지쌀값을 감안하여 1월중 확정되며, 1등급 벼 40kg 기준으로 52,000원을 우선 지급한다. 우선지급금은 농가의 수확기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매입대금의 일부를 출하 현장에서 가지급하는 것으로 매입 가격을 확정한 후에 정산하게 된다. 올해 우선지급금은 8월 평균 산지쌀값(167,157원)을 40kg 벼로 환산한 가격 57,677원의 약 90%수준에서 결정하였다.

농식품부는 금년부터 공공비축과 별도로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운영을 위해 ´14년산 쌀 3만톤(벼 40kg 기준, 1백4만2천 포대)을 신규 매입 한다고 밝혔다.

한편, APTERR용 쌀 매입 등과 관련된 업무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담당하며, 9월 29일 당일 접수 등록, 10월 8일까지 매입 계약을 체결한 후 12월11~24일 동안 매입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금년에는 공공비축용 쌀 37만톤에 더하여 해외공여용 쌀 3만톤을 추가 매입함에 따라 예년에 비해 농가의 출하 여력이 확대되었다고 밝혔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