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올해 최고 쌀 가공품은? 쌀가공품평회 64개 출품…똑쌀떡국․수리취․오메기떡․생강조청

고아미 쌀국수 등 우수제품 선발 시상식 가져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회장 박관회)는 최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14 쌀가공품 품평회’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쌀가공품 품평회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쌀가공품 품질향상과 경쟁력 촉진을 위하여 2008년부터 매년 실시해 오고 있는데 제품의 쌀 함량이 30%이상으로써 시판중인 제품 중에서 품목별 우수제품 10개를 선발 시상하고 있다.

쌀가공품 TOP 10’은 품질, 소비자 선호도, 위생부문의 3단계 심사를 통해 식감, 포장디자인, 수요확대 가능성, 제품개선 노력 등을 종합 평가하여 선정하였다. 올해 품평회는 모두 64개 제품이 출품 되었으며, 7개 유형별(떡류, 면류, 과자류, 전분당류, 곡물가공류, 도시락, 주류음료류) 쌀가공품 중에서 TOP 10을 선정하였는데, 선정 제품은 똑쌀떡국, 수리취 오메기떡, 고아미 쌀국수, 쿡시 멸치맛 쌀국수, 유기농 컬러칩, 너츠라이스바, 생강조청, 쌀 부침가루, 식후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밥, 느린마을 막걸리 등이다. 이번 입상 제품에 대해서는 농식품부 장관상과 함께 상금 300만원이 부상으로 수여되며, 홍보 및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쌀가공품 판매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번 품평회 심사위원장인 한양대 한상필 교수는 “올해 선정된 제품들은 예년에 비해 한 단계 발전된 기술력으로 쌀의 맛과 영양을 고스란히 살리면서도 간편성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시상식장에는 쌀가공품 TOP 10제품 전시와 함께 시식행사를 병행, 맛과 영양이 듬뿍 담긴 쌀가공품으로 참석자들의 입맛을 사로 잡았다. 강성수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