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지역특성에 맞는 사료작물 제때 파종

품종별 월동 가능 지역․파종시기 소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지역별 겨울나기 사료 작물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파종 시기를 소개했다. 추위에 약한 작물을 기온이 낮은 곳에서 재배하거나 씨 뿌리는 시기를 못 맞추면 월동률이 낮아지고 봄에 초기 생육이 나빠진다. 호밀은 추위에 강해 전국에서 재배할 수 있으며, 트리티케일과 밀은 강원 산간을 제외한 전 지역, 청보리는 경기·충청 평야지와 동해안, 남부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다.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충남 평야지와 동해안, 남부 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알맞다. 겨울철 사료 작물의 씨 뿌리는 시기는 북부 지방이 빠르고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조금씩 늦어진다. 경기·강원·충북 지역은 10월 상순∼중순, 충남·경북 북부 지역은 10월 중순∼하순, 경북 남부·전북·전남 지역은 10월 하순∼11월 상순, 제주 지역은 11월 상순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최기준 과장은 “축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좋은 품질의 풀사료를 농가 스스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전작과 한옥규 박사는 “겨울철 사료 작물의 재배 면적을 넓히기 위해 국내 육성 사료 작물 품종들을 농가에 신속히 보급해 나가겠다.” 라고 말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