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9월8일 秋夕특수 ‘과일류 수급 원활’

농업관측센터, 이른 추석에도 불구하고 과일▪과채류 출하 원활 전망!

추석 성수기 사과 출하량은 전년보다 2%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1% 많은 5만 2천톤 내외로 전망된다. 빠른 추석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사전준비와 기상호조로 8월 중순부터 추석 성수기용 사과가 순조롭게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석 성수기 사과 홍로품종 도매가격은 출하량이 조금 적으나, 기상호조로 대과 비율이 높아 전년 성수기(5만 7,320원)보다 조금 낮은 상품 15kg 상자에 5만 3천~5만 7천원으로 전망된다.

추석 성수기 배 출하량은 농가의 철저한 대비와 기상호조로 8월 중순 이후부터 원활히 출하되어 전년 대비 2% 감소에 그친 5만 5천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추석 성수기 신고배 도매가격은 출하량이 다소 적으나, 품질이 조금 떨어져 전년 성수기(4만 6,310원)보다 소폭 상승한 상품 15kg 상자에 4만 6천~5만원으로 전망된다.

단감의 경우 추석 성수기에 맞춰 출하시기를 앞당기고 있으나, 출하량은 전년보다 9% 감소한 2,300톤 내외로 전망된다. 추석 성수기 서촌조생 상품 10kg 상자 도매가격은 전년 성수기(5만 2,490원)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석 성수기 사과,배,단감 출하량은 과실 비대와 색택 등을 최대화하기 위해 추석 2주 전보다는 1주 전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추석 성수기가 시작되는 8월 하순에는 가격이 다소 높게 형성되다가, 9월 첫째 주에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수박 8~9월 평균 출하량은 전년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낮게 형성되겠으나, 9월 상순에는 추석 수요로 전년(상품 kg당 1,480원)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복숭아 8~9월 평균 출하량은 기상호조로 전년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추석 시기 선물용 등의 수요물량은 전년보다 낮은 가격에 충분히 공급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