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八道 전통발효식품 9월에 몽땅 모인다!

‘대한민국식품대전’ 팔도 전통발효식품 주제 오는 9월 2일부터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가 주최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주관하는 ‘2014년 대한민국식품대전’이 팔도 전통발효식품을 주제로 오는 9월 2일(화)부터 5일(금)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전통식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추석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홍보 및 판매 기회의 장으로 마련됐다.

 

한편, 정부는 영세한 전통발효식품 업체의 참가를 촉진하기 위해 부스 설치비를 지원한다. 전년도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경우 전통 발효식품 업체의 부스설치비(약 1백만 원)의 80%, 1∼5억 원은 60%, 5∼10억 원은 40%를 지원한다. 또한,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홍보를 실시하고, 특히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한 ‘온라인 박람회’도 개최하여 참가업체의 판매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체 참가업체의 상품정보를 담은 ‘대한민국식품대전 참가업체 상품설명서’를 대량 제작하여 국내외 바이어에게 배포하여 전시회 이후에도 참여업체의 상품 수요처 발굴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통발효식품의 재발견’이라는 주제로 추진하는 2014년 대한민국식품대전은 전시판매, 바이어 상담, 세미나 개최, 품평회, 시음시식 등 다채로운 행사 프로그램으로 구성·운영된다.

 

전국의 우수한 전통발효식품을 전시하는 ‘팔도 전통발효식품관’은 9개 시·도관을 통해 지역별 다양한 전통발효식품을 전시·홍보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추석 수요를 감안하여 현장판매도 함께 한다.

 

또한, 국내외 바이어 초청·거래상담을 통해 참가업체의 판로 창출을 지원할 예정이며, ‘전통발효식품과 건강’을 테마로 다양한 세미나도 개최된다. 특히, 요리명인 초청 요리강습, 요리경연대회, 무료 시식시음, 소비자 품평회, 퀴즈 등 다양한 경품 이벤트, 파워브랜드 시상식 등 소비자 와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다채로운 체험행사·부대행사도 개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대한민국식품대전은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을 전시· 홍보하여 지역의 영세한 전통발효식품산업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식품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