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돼지 개량 네트워크 사업 성과, ‘눈에 띄네’

참여 업체 두록 90kg 도달 일령 7일 줄어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2분기 돼지 개량 네트워크 구축 사업의 유전 능력을 평가한 결과, 두록 참여 종돈장의 90kg 도달 일령 육종가(유전 능력)가 2008년에 비해 7일 줄었다고 밝혔다. 실제 형질을 나타내는 표현형은 2008년에 비해 9.6일이 줄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두록 평균 141.9일에 비해 6.7일이 빠른 것이다. 유전 능력과 정액 생산량 등을 고려할 때, 참여 종돈장의 부계 두록 90kg의 도달 일령을 하루만 단축해도 연간 약 45억 7000만 원 가량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돼지 개량 네트워크 사업은 국가 단위 유전 능력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종돈장 간 우량 씨돼지의 선발과 교류, 평가를 통해 국내 여건에 맞는 한국형 씨돼지로 개량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부계는 5개 참여․협력 종돈장(금보, 농협, 다비삼성, 원산, 축산원)과 1개 핵군AI센터(다비중원)가 참여하고 있으며, 어미돼지 규모는 520마리다.

 

모계는 2012년부터 7개 참여․협력 종돈장(금보, 농협, 다비삼성, 디앤디, 선진, 신청봉, 가야)이 요크셔 어미돼지 2,490마리, 랜드레이스 어미돼지 440마리 규모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이달부터 씨돼지 선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분기별로 하던 유전 평가를 월 단위로 변경해 실시한다. 기존 평가 방식에서는 일찍 검정을 마친 돼지들이 이미 분양되거나 도태돼 선발되지 않거나 활용이 제한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