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11.26(수)
#��������� ���������������������������������������
-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 농협, 경기도와 ‘축산발전 협약’ 맞손
- 농어촌공사, K-농기자재 해외 진출에 박차
- 축산환경관리원, ‘지역사회공헌 인정의 날’ 보건복지부 장관상
- 농정원, 내년 ‘도시농업 교육인력 양성지원 사업’ 운영기관 공모...12월 10일까지
-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업정책 대전환을 위한 지역별 타운홀 미팅 시작
- 농가 공동경영주 농외 '겸업 허용'
- 농협 IT, ESG 실천행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챌린지’ 성료
- 농협상호금융, 지역본부장들과 연말 연체 감축 논의
- 우유자조금, 2025 밀크어워드, 국산우유사용점이 이끄는 ‘국산 우유의 가치 확대’
- 우유자조금, 건조해진 환절기 갈증...‘국산우유’ 추천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 농어촌공사, K-농기자재 해외 진출에 박차
- 축산과학원, ‘한우 스트레스 저감기술 효과’ 겨울철 관리 중요
- 축산환경관리원, ‘지역사회공헌 인정의 날’ 보건복지부 장관상
- 농정원, 내년 ‘도시농업 교육인력 양성지원 사업’ 운영기관 공모...12월 10일까지
-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업정책 대전환을 위한 지역별 타운홀 미팅 시작
- 농가 공동경영주 농외 '겸업 허용'
- 농협 IT, ESG 실천행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챌린지’ 성료
- 농협상호금융, 지역본부장들과 연말 연체 감축 논의
- 농촌진흥청, 누에 스마트 생산 시스템 첫 공개 ‘청년 양잠농업인 육성 박차’
- 팜스코, '펫푸드' 기부… 4년째 유기동물 위한 나눔 활동
- 농정원, 올해 신규 교육과정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