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윤)는 미국 젖소개량협의회(CDCB)와 Genetic Visions와의 업무 협력을 통해, 내년부터 국내 젖소 농가에 세계적 유전체 평가 기준인 GTPI(Genetic Total Performance Index)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종축개량협회 이재윤 회장 외 3인은 지난 10월 1일부터 2일까지 CDCB의 Lindsey Worden 위원장과 Genetic Visons의 Christy Neis 이사를 만나 업무 공조 방안을 논의하고 협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한국종축개량협회는 기존 독일 유전체 평가 기준에서 벗어나 미국 GTPI, GEBV, Net Merit, 유전 결함 등 약 75개 항목에 걸친 유전체 결과를 제공받아 국내 농가에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국종축개량협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유전체 원천 데이터를 제공받기로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젖소 참조집단 구축, 새로운 유전 형질 발굴, 지자체별 맞춤형 서비스 등의 다양한 유전체 분석 활용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한국종축개량협회 이재윤 회장은 “CDCB 및 Genetic Visions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젖소 유전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윤)는 제25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출품축을 활용한 유전체분석 검증결과 유전체육종가평가 정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밝혔다. 한우의 주요 경제형질에 관여하는 도체성적(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과 육종가(혈통지수, 유전체)를 활용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또한 일반우 도축자료가 아닌 혈통등록된 대회 출품축 도축자료를 사용함으로써 분석신뢰도를 확보했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제25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출품축(거세우) 808두 중 도축된 778두(‘23.2월초 기준)의 도체성적을 활용해, 출하 전 평가한 유전체육종가와 실제 출하된 도축성적을 비교했다. 출하 전 유전체육종가와 실제 출하된 도축성적을 비교한 결과 유전체육종가는 도체중 74.6%, 등심단면적 65.7%, 등지방두께 66.2%, 근내지방도 66.3%로 높은 상관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전체육종가평가 정확도가 매우 높게 검증된 결과로 유전체분석사업 참여농가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매우 의미가 크다. 특히나 이번 유전체육종가 평가결과 검증방법은 북미, 유럽 등 축산 선진국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해당개체의 표현형 자